개념자아 인경스님의 명상편지 개념자아 개념자아란 말 그대로 개념에 의해서 파악된 자기입니다. <무엇인 나인가?>라고 질문하면, '나는 쓸모가 없어.' 혹은 '나는 멋진 사람이야.' 이렇게 대답한다면, 이것이 바로 개념자아입니다. 끊임없이 변하는 현실과 관계없이 언어적 개념에 의해서 파악된 자기로서.. 마음고요 2009.12.03
無心으로 마음의 故鄕에 돌아간다 無心으로 마음의 故鄕에 돌아간다 매일 같이 저녁 노을을 바라보라. 안팎의 평화를 발견하기 가장 쉬운 때가 바로 노을을 바라볼 때가 아닌가. 서쪽으로 지는 노을은 흡사 서방 정토 아미타 부처님의 선물인 듯 바라만 보아도 축복과 평안 그리고 적요를 느끼게 한다. 정진으로 하루를 살고 저녁이면 .. 마음고요 2009.12.02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서로 사귄 사람에게는 사랑과 그리움이 생긴다. 사랑과 그리움에는 괴로움이 따르는 법. 연정에서 근심 걱정이 생기는 줄 알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숲속에서 묶여 있지 않은 사슴이 먹이를 찾아 여기저기 다니듯이 지혜로운 이는 독립과 자유를 찾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욕망은 실로 .. 마음고요 2009.12.02
그는 누구인가 / 법정스님 그는 누구 인가 법정스님. 내 뒤에서 언제나 나를 지켜보는 눈이 있다. 시작도 끝도 없는 아늑한 세월을 두고 밤이나 낮이나 나를 낱낱이 지켜보는 눈이 있다. 그는 누구인가? 언어의 틀에 갇히지 말고 그가 누구인가 깊이깊이 살펴보라. 나를 지켜보는 그와 떨어져 있지 말고 그와 하나가 되라 그러면 .. 마음고요 2009.11.29
홀로있음(Aloneness)| 홀로있음(Aloneness) / 오쇼 '나'가 사라진 그대, 자아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그대, 아무 것에도 갇히지 않는 그대..... 순수하게 비어있는 공간, 그 무한함, 한정없는 비어있음..... 이것을 붓다는 명상의 상태,올바른 명상의 경지, 즉 삼마사마디(sammasamadhi)라고 부른다. 붓다는 그것을 전적으로 홀로 존재하.. 마음고요 2009.11.27
행(行) 그리고 업(業) 행(行) 그리고 업(業) 우리가 살아가면서 무심하게 하는 말과 행동은 내자신은 물론 나의 인연(因緣)있는 모든 것에 영향을 미처, 내자신의 자성(自性)의 변화(變化)는 물론이고, 그 결과로 인연(因緣)이 변(變)하고, 그 인연이 바뀔 때마다 우주(宇宙)전체의 인연(因緣)이 바뀝니다. 연기(緣起)의 바다는 .. 마음고요 2009.11.24
호흡명상 인경스님의 명상편지 호흡명상 우리는 자신의 몸에 대해서 엄청난 관심을 가집니다. 가장 자주하는 인사도 '몸건강'입니다. 아마도 몸이란 생존의 욕망과 근심의 근원인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옛부터 종교는 욕망을 통제하여 왔습니다. '몸이란 더럽고 애착의 근본이다.' 부처님이 제시한 부정관(不淨.. 마음고요 2009.11.16
호흡명상 인경스님의 명상편지 호흡명상 우리는 자신의 몸에 대해서 엄청난 관심을 가집니다. 가장 자주하는 인사도 '몸건강'입니다. 아마도 몸이란 생존의 욕망과 근심의 근원인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옛부터 종교는 욕망을 통제하여 왔습니다. '몸이란 더럽고 애착의 근본이다.' 부처님이 제시한 부정관(不淨.. 마음고요 2009.11.16
생각 바라보기 생각 바라보기 나이드신 그 분은 내게 말하였습니다. 가을이 슬프고 힘들어지는 이유를 지금까지 정든 아이들을 떠나보내야 하기 때문이라고. 세월이 흘러가고 노랗게 변한 나뭇잎을 보면서 손때 묻은 소중했던 물건들을 정리하면서 ‘이제, 안녕!’이라고 말해야 함을 알게 됩니다. 지금까지 걸어온.. 마음고요 2009.11.13
비워라.. /서암(西庵) 큰스님 비워라 많이 아는 것은 귀한 것이나, 그보다 더 귀한 것은 다 털어 버리는 것이다. 많은 것을 갖는 것은 부富한 것이나, 그보다 더 부한 것은 하나도 갖지 않는 것이다. 남을 이기는 것은 용기있는 것이나, 그보다 더 큰 용기는 남에게 져주는 것이다. 가득찬 그릇에는 넘쳐 버리지만,.. 마음고요 2009.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