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행 (輕行) 우리의 일샹은 동작과 활동들로 가득 차 있다. 계속해서 몇 시간씩 전혀 움직이지 않고 앉아 있는 것은 평소 체험과는 정반대되는 일이다. 절대 고요의 와중에서 조성해놓은 명료함과 평온함은 움직이는 순간, 사라지기 십상이다. 따라서 움직이는 중에도 변함없이 고요하고 자각.. 깨어있는 마음 2011.11.28
바른이해 모든 존재 안에서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를 보게 되면 바른 이해가 자라며 마음을 빼앗기거나 집착하지 않게 된다. 집착하지 않음은 싫어함이 아니다. 우리가 한때 좋아했던 것을 싫어하는 마음 역시 일시적이며, 머지않아 그것에 대한 갈망이 다시 돌아올 것이다. 그대가 .. 깨어있는 마음 2011.11.28
삼귀의와 오계수지 - 빨리어 예불문 [☞ 다운로드 ] 남방불교 의식때 행하는 삼귀의와 오계수지입니다. 독경하신 스님 : Ven. Indaratana Maha Thero은 스리랑카의 큰 스님으로서 현재는 말레이시아의 Mahindarama Buddhist Temple에서 주석하고 계십니다. 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aasambuddhassa 나모 땃싸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삼붓.. 깨어있는 마음 2011.11.28
[스크랩] 알아차림의 토대(四念處satipatthana) .. 초보자를 위한 가르침 U.Tejaniya Sayadaw (우 떼자니야 사야도) Shwe Oo Min Center (미얀마 쉐우민 명상센터) 위빠사나(觀法수행)를 처음 시작하는 이들에게 ** 사띠(sati:念 알아차림) ** 수행한다는 것은 마음이 일하는 것. 즉, 마음의 작용을 아는 것 입니다. 마음이 무슨 일을 해야 하는가.. 깨어있는 마음 2011.11.26
무아(無我) 무아(無我) 추울 때는 단지 추위만 있지 내가 추운 것이 아니다. 추위는 감각기관이 느끼고 아는 것이지 내가 추위를 아는 것이 아니다. 더울 때는 단지 더위만 있지 내가 더운 것이 아니다. 더위는 감각기관이 느끼고 아는 것이 내가 더위를 아는 것이 아니다. 아플 때는 단지 아픔.. 깨어있는 마음 2011.11.25
수행의 아름다움 수행의 아름다움 수행의 아름다움이란 깨어 있음 그 자체에 있습니다. “나는 정화될 것이야”라고 생각하면서 스스로 특정한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 이 순간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있는 그대로 알아차림 하는 것이 올바로 수행하고 있는 것입니다 달리.. 깨어있는 마음 2011.11.20
마음을 맑히는 알아차림 1. 어느 때 어느 대상이든 현재에 있는 대상하나를 꼭 잡아서 알아차려야 한다. 이때 주의할 일은 있는 대상을 보고 상상하거나 없는 대상을 만들어서 잡지 말아야 한다. 과거의 일과 미래의 일은 모두 현재가 아닌 망상에 속한다. 수레바퀴가 돌 때 닿는 점은 항상 한 지점이다. 그.. 깨어있는 마음 2011.11.20
팔정도수행 바로알고 내려놓기_제2회 팔정도란 무엇인가? 방송 보기: 불교TV 일묵스님 그거에 대해서 설명을 한 것이 바로 뭐에요? 집성제입니다. 집성제. 고가 일어나는 원인. 왜 그러면 우리 삶에서 이런 고통이 일어나는가? 그 고의 원인이 집성제인데, 여기는 집성제가 뭐라고 돼 있느냐 하면, 뭐라고 돼 있어요? 갈애라 그러죠. 가래. .. 깨어있는 마음 2011.11.19
불성(佛性) 불성(佛性) : 누구나 깨달을 수 있는 가능성. 혹은 부처가 될 수 있는 자질. 바탕.속성을 말한다. 곧 깨달을(성불) 수 있는 잠재적 성질을 말한다. 그런 뜻에서 여래가 될 수 있다고 하는 여래장(如來藏)과 동의어다. 번뇌에 둘러 싸여 있는 우리 인간도 그 본질적인 바탕은 부처와 동.. 깨어있는 마음 2011.11.13
[스크랩] 한국불교의 수행법, 무엇이 문제인가 / 마성스님 한국불교의 수행법, 무엇이 문제인가 2011년 09월 01일 마성스님 soochanglee@yahoo.co.kr 1. 머리말 이제 우리나라도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해 가고 있다. 그런데 아직도 과거의 화려했던 영광만 되뇌고 있다. 예전에는 불교가 이 민족과 함께해 왔다. 그러나 지금은 전혀 다른 상황에 .. 깨어있는 마음 2011.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