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은 누구나 고독한 존재 마음은 누구나 고독한 존재 사람은 누구를 막론하고 자기 자신 안에 하나의 세계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아득한 과거의 영원한 미래를 함께 지니고 있는 신비로운 세계다. 홀로 있지 않더라도 사람은 누구나 그 마음의 밑바닥에서는 고독한 존재다. 그 고독과 신비로운 세계가 하나가 되도록 거듭거듭.. 마음고요 2011.10.10
풍경(風磬) 소리 풍경(風磬) 소리 몸 전체가 입이 되어 허공에 걸려 있어 동서남북 모든 바람 상관하지 않고 한결같이 어울려서 반야를 노래하네. 뗑그렁, 뗑그렁, 뗑그렁···. 通身是口掛虛空 不管東西南北風 통신시구괘허공 불관동서남북풍 一等與渠談般若 滴丁東了滴丁東 일등여거담반야 적정동료적정동 - 천동.. 마음고요 2011.10.06
[스크랩] 인생은 일장춘몽 - 관허스님 인생은 일장춘몽 - 관허스님 보이시는가 저기 푸른 하늘에 두둥실 떠있는 한조각 흰구름 그저 바람 부는대로 흘러 가지만 그 얼마나 여유롭고 아름다운가 우리가 100년을 살겠나 1000년을 살겠나 한 푼이라도 더 가지려 발버둥쳐 가져 본들 한 치라도 더 높이 오르려, 안간 힘을써서 올라 본들 인생은 일.. 마음고요 2011.10.06
[스크랩] 제5회 강창화 서예개인전 작가미상 , 크기:70*200 님이 오겠다고 하기에 저녁 밥을 일찍 지어 먹고 중문을 나와서 대문으로 나가, 문지방 위에 올라가서, 손을 이마에 대고 임이 오는가 하여 건너산을 바라보니, 거무희뜩한 것이 서 있기에 저것이 틀림없는 임이로구나. 버선을 벗어 품에 품고 신을 벗어 손에 쥐고, 엎치락뒤치락 .. 마음고요 2011.10.03
[스크랩] 취다선(강창화서예작품) "茶禪一如 " 선과차는 둘이 아니요, 華嚴과禪 또한 수레의 바퀴와 같다. 마실거리로만 생각 해온 차를 선승들께서는 禪과 접목하여 차를 마시는 행위를 수행의 대상으로 여겨 왔지요. "茶禪一如" 차와선은 같다. "茶禪不二" 차와 선은 둘이 아니다 "茶禪三昧 "차는 깨달음이다. 이처럼 선승들께서는 차.. 마음고요 2011.10.03
수행 다른 종교에 비해 불교의 특색은 수행(修行)이다. 수행은 깨달음으로 가기 위한 행동으로 자기 욕심에 사로잡혀서 볼 줄 모르는 것을 바로잡기 위함이다. 안심입명(安心立命)은 나와 남의 마음이 모두 편안한 것[安心]으로 바른 생활이 지속된다[立命]는 뜻이다. 불교는 수행을 통해 이 안심입명의 길.. 마음고요 2011.09.29
공(空)과 마음 공(空)과 마음 소승불교의 대표적인 사상이 나라는 주체가 윤회한다는 사상이라면, 대승불교는 바로 나라는 주체를 무시한 무아(無我)의 공(空)사상이다. 공이란 고정된 실체로서의 자성이 없다는 것을 말한다. 나라는 생각에 집착하는 것은 잘 못된 판단이다. 몸은 내 것이 아니라 원소와 원소로 이루.. 마음고요 2011.09.29
여래의 가르침 ◎ 초기경전 ◎ ♤ 최후의 교훈 ♤ ▒ 여래는 길잡이 “한결같은 마음으로 방일함을 원수와 도둑을 멀리하듯 하여라,. 여래의 가르침은 모두 지극한 것이니 너희들은 부지런히 그렇게 행해야 한다. 산 속이나 늪 가나 나무 밑에서, 혹은 고요한 방에 한가히 있을 때에, 들은 법을 생각해서 잊거나 잃어.. 마음고요 2011.09.28
백천만겁 난조우(百千萬迲難造遇) 백천만겁 난조우(百千萬迲難造遇) - 무불스님 나.라는 존재로 인하여 괴로움이 생기고. 나,라는 존재로 인해서 기쁨이 생긴다. 천지만물 삼라만상이 문제가 아니라. 오늘에 존재하는 나의 문제다. 마음이 일어"(生)나고 .마음이 멸"(滅)하는 자리. "무상정등각(아뇩다라삼막삼보리) .속에는 무소유가 들.. 마음고요 2011.09.26
인과(因果)에 관하여 인과(因果)에 관하여 만사가 인과의 법칙을 벗어나는 일은 하나도 없어 무슨 결과든지 그 원인에 정비례한다.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나는 것이 우주의 원칙이다. 콩 심은 데 팥 나고 팥 심은 데 콩 나는 법 없나니 나의 모든 결과는 모두 나의 노력 여하에 따라 결과를 맺는다. 가지씨를 뿌려.. 마음고요 2011.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