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 내것이 어디 있던가.. ♡본래 내것이 어디 있던가 ♡ 언젠가 우리에게는 지녔던 모든 것을 놓아 버릴 때가 온다. 반드시 온다! 그때 가서 아까워 망설인다면 그는 잘못 살아온 것이다. 본래 내 것이 어디 있었던가. 한때 맡아 가지고 있었을 뿐인데. 그러니 시시로 큰마음 먹고 놓아 버리는 연습을 미리부터 익혀 두어야 한다.. 마음고요 2011.09.16
붓다의 가르침 붓다의 가르침 붓다의 가르침이 아무리 훌륭해도 실천하지 않으면 자신의 것이 아니다. 생각으로만 아는 가르침은 지식에 불과하다. 자신의 지혜가 나야 비로소 훌륭한 가르침이다. 위대한 가르침이 한 때의 호기심에 그치지 않도록 하려면 반드시 스승의 지도를 받으면서 수행을 해야 한다. 누구도 .. 마음고요 2011.09.09
수행의 세 가지 역할 세 가지 역할 수행이란 노력과 알아차림과 집중을 하는 것이다. 세 가지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수행을 할 수 있다. 노력을 해야 알아차릴 수 있고 알아차림을 지속해야 집중이 된다. 수행이 잘 되지 않는다면 노력이 적절했는 알아차림이 적절했는지 집중이 적절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노력.. 마음고요 2011.09.04
[스크랩] 43. 괴로움 괴로움 지금 자신이 괴로운 것은, 지금 이전과, 전생의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으로 인해서 생긴 과보로 괴로운 것이다. 이러한 괴로움은 누가 준 것이 아니고 모두 자신이 만든 것이다. 그래서 괴로움은 피할 수 없는 것이며 반드시 겪어야 하는 불가피한 것이다. 자신이 만든 괴로움을 다른 것으로 .. 마음고요 2011.08.24
마음의 양식이 되는 좋은글 마음의 양식이 되는 좋은글 나 자신의 인간 가치를 결정짓는 것은 내가 얼마나 높은 사회적 지위나 명예 또는 얼마나 많은 재산을 갖고 있는가가 아니라 나 자신의 영혼과 얼마나 일치되어 있는가이다 [홀로 사는 즐거움] 에서.. 삶은 소유물이 아니라 순간순간의 있음이다 영원한 것이 어디 있는가 모.. 마음고요 2011.08.21
空手來空手去(공수래 공수거) " 空手來空手去(공수래 공수거) "-----------------지산선생- 너무나 유명하여 오히려 진부한 구절이 된 말이다. 사람의 生(생)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하였기에 너나 없이 인용한 까닭이리라! "빈 손으로 왔다가 빈 손으로 가다"가 아니라, "빈 손으로 왔으니, 당연히 빈 손으로 가거라"이다. 우리 모두는 "만남.. 마음고요 2011.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