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 약찬계 1. 제 목 화엄경 약찬게 華嚴經 略纂偈 화엄경을 간략하게 모은 게송 대방광불화엄경 용수 보살약찬게 大方廣佛華嚴經 龍樹 菩薩略纂偈 대방광불화엄경을 용수보살이 찬탄한 게송 2. 삼신불께 귀의합니다. 나무 화장세계해 비로자나진법신 南無華藏世界海 毘盧遮那眞法身 바다와 같이 다함이없는 화.. 불교의 이해 2005.06.29
선지식을 찾아야 하는 이유 선지식을 찾아야 하는 이유 공부가 늘었다 줄었다 하여 재미가 없으면 더욱 전진해서 차츰 차츰 들어가는 것이 좋으며, 절대로 놓아버리지 말라. 경계를 벗어나 맑으면 곧 고요함에 들어가리니 고요해진 뒤에야 선정을 이루리라. 선정에는 각각 이름이 있어서 삿된 것과 올바름이 있으니 알아두어야 .. 불교의 이해 2005.06.20
관음정근 나무 보문시현 원력홍심 대자대비 구고구난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 불교의 이해 2005.06.15
불교란 무엇인가 불교란 무엇인가? 1) 불교란 무엇인가 불교란 부처님께서 모든 진리를 깨달으신 뒤 우주의 중생들에게 그 진리를 가르치신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부처님이 깨달으신 진리의 근본 가르침은 ‘나쁜 일은 하지 말고 늘 좋은 일만 하며 저절로 그 마음이 깨끗해져[諸惡莫作 衆善奉行 自淨其意] 모든 괴.. 불교의 이해 2005.06.12
가려뽑은 경전말씀 - 금강경(40) 번호제 목출전별 표추천조회 40 형상에 집착하지 않는 보시는 복덕이 무량하다금강경 ☆ 47 2579 39 내 몸을 마디마디 잘랐어도 화를 내지 않았다금강경 ☆☆ 51 2414 38 일체 유위법은 꿈, 환상, 물거품, 그림자와 같다금강경 639 37 법에 대한 집착을 일으키지 말라금강경 362 36 세계는 언어로 표현할 .. 불교의 이해 2005.05.31
화두(話頭) 화두(話頭) 화두는 공안, 고칙(古則)이라고도 하며 진리를 깨친 부처님이나 근사의 말씀이기도 하고 몸짓이나 그 밖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말씀이나 몸짓으로 보이되 실로 단순한 말이 아니며 참선하는 이에게 끊임없이 문제의식을 제공하고 이것을 놓지 않고 수행하면 반드시 깨달음에 도.. 불교의 이해 2005.05.30
불교수행특별강좌 - 생활속의 불교수행 현산스님 화엄사 선등선원장 지홍스님 월간 불광 발행인 청견스님 법왕정사 주지 무심스님 직지사 승가대학 학감 정목스님 정토선원 선원장 강선희 주부 지환스님 조계종 기본선원장 성정스님 조계종 총무원 문화부장 박영재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 류종민 중앙대 조각과 교수 금강경독송회법사 김.. 불교의 이해 2005.05.27
마음공부 인간은 가진 재산이 많을 지라도 만족하지 못하면 고통스러운 가난뱅이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많으면 많을 수록 더욱 바라는 것이 인간의 共通的 心事이니 마음공부는 많이가지는 것을 무척이나 꺼린다. 천원짜리 지폐 한장으로도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늘 배가 부른 사람이다. 좀더 축적 하려다 가.. 불교의 이해 2005.05.22
一常生活과 禪 禪에서는 活句란 말을 자주 쓴다. 死句의 相對되는 말로 부처나 祖師의 흔적을 답습하는 것이 아니고 創意的으로 수행정진하여 선의 힘을 일상생활에 전용한다는 뜻이다. 禪의 닦은 힘을 일상생활에 活用을 못한다면 死禪으로 자기 혼자만의 독점이며 소위 羅漢禪에 머물고 마는 것이다. 불교에 利他.. 불교의 이해 2005.05.22
뜻으로 푼 천수경 정구업진언 "진실한 말을 하면 진언이 되고 하치 않은 말을 하면 구업이 되도다."(세번)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온 법계에 두루하온 내 한마음을 끊임없이 따르리다. 진정코 믿으오리다."(세번) 개경계 일체 모든 부처님의 마음은 내 한마음에 깊고 깊어 한 찰나에 부처님의 마음이요, 한 찰나를 몰라서.. 불교의 이해 200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