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육조단경 낭송 [옮김] .육조단경-행유품(行由品) .육조단경-반야품(般若品) .육조단경-의문품(疑問品) .육조단경-정혜품(定慧品) . 육조단경-좌선품(坐禪品) .육조단경-참회품(懺悔品) .육조단경-부촉품(付囑品) . 육조단경-기연품(機緣品) .육조단경-돈점품(頓漸品) .육조단경-선조품(宣詔品) 육조단경찬(六祖壇經讚) 불교의 이해 2007.02.17
선가의 그림 십우도 선가의 그림 "십우도" 불가(佛家)에서는 오래 전부터 ‘소’를 진리의 상징으로 보고 심법전수의 수단으로 삼았다. 절마다 ‘소를 찾는 그림(尋牛圖)’을 벽에 둘러가며 그려 붙인 것이 그것이다. 최초로 심우도를 그렸던 송나라때의 곽암선사는 화엄경이 말하는 미륵불(彌勒佛)의 출세를 상징화하여 .. 불교의 이해 2007.02.06
불교의 상징물 불교기 청.황.적.백.주황색의 다섯가지로 된 불교기는 원래 1882년 영국인 불교도인 올콧트 대위가 창안한 것인데, 1950년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열린 ‘세계불교도대회’에서 만국 공동의 불교기로 정식 승인되었으며, 현재 세계 불교국가의 불교단체에서 사용하고 있다. 불교기의 5색의 가로선은 부처.. 불교의 이해 2007.02.03
간추린 화엄경 차꽃/사진 카페[염화실]에서 ***간추린 화엄경*** 민족사판 〈한글화염경〉 의 번역에 사용된 원전은 당(庸) 실차난타(實又難院)가 번역한 전 39품 80권 화엄경이다 (무비스님이 번역한 본 〈한글화엄경〉에서는 별도로 유통되고 있던 普賢行願品을 수록하여 전 40품으로 편찬하였다). 이 80권본 화엄경은.. 불교의 이해 2007.01.24
인과에 대하여 ***因果에 대하여*** 결과를 낳게 하는 것이 '인'이며 그 인으로 해서 생긴 것이 '과'이다. 과학을 비롯 철학이나 여러 학문은 이 두 사이에 일정한 법칙이 반드시 존재한다고 주장하여 '인과율'을 그 기초에 둔다. 사실 인과 과의 깊은 관련은 일상생활에서나 시대·지역을 넘어서 반드시 전제가 된다. .. 불교의 이해 2007.01.22
마음공부의 3단계 ***마음공부의 3단계 *** “일심.무심공부 거친 발심은 성취도 쉬워” 육신 없어져도 마음은 남으니 복덕과 지혜 갖추도록 수행을… 사람이 죽으면 몸뚱이는 불로 태우거나 흙에 묻혀 사라지지만 마음은 사라지지 않는다. 마음은 타지도 썩지도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죽은 후에 살아생전 연습하던 마.. 불교의 이해 2007.01.08
[스크랩] 공양(供養) 공양이란 ‘공급(供給)하여 자양(資養)한다’는 뜻을 지닌 불교 의식이다. 공양이란 말은 부처님과 스님들에게 의복이나 음식 등을 받들어 올리는 신체적인 행위를 일컫는 것이었지만, 공경하고 찬탄하는 정신적인 것까지도 포함하게 되었다. 공양의 대상에 따라 다양한 의식이 행해졌다. 부처님께 .. 불교의 이해 2007.01.06
깨어 있음(覺)이 있어도 비춤(照)이 없으면.. 깨어 있음(覺)이 있어도 비춤(照)이 없으면.. 어떤 이들은 공부중에 공에 떨어질까(落空) 두려워하나 이미 그들이 귀신굴에 태어난 것을 어찌 알겠습니까. 비우려 해도 비워지지 않으며 깨달으려 해도 깨달음이 오지 않는 것입니다. 어떤 이들은 마음으로써 깨달음을 구하지만 깨달음을 구하거나 성불.. 불교의 이해 2007.01.01
생활 염불수행 생활염불수행에 대하여 순간순간 다가오는 경계를 직바로 녹이는 염불수행 생활염불이란 삶 속에서 안팎으로 다가오는 온갖 경계(境界)를 녹이고 비우는 염불명상으로써, 경계에 따라 순간순간 '욱'하고 올라오는 마음들을 바로 관(觀)하고 염불로써 맑게 비워내는 수행이라 하였습니다. 경계란 안이.. 불교의 이해 2006.12.25
석존생애 [석가모니와 제자] 아난(왼쪽)과 마하가섭(오른쪽) '마음이 곧 부처(卽心是佛)'라 하나 아직 난 부처를 찾지 못했다. 마음이 흔들리고 '나'란 존재로 가득차 있어 아직 난 부처를 만나지 못했다. 중생의 습기(習氣)에 물들어져 내안에서 부처 찾는 일은 쉽지 아니하여 이제 밖에서 부처를 찾고자 길을 떠.. 불교의 이해 2006.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