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과 중도 극단과 중도 좋은 뜻으로 하는 일도 극단적이면 나쁜 결과가 생긴다. 나쁜 뜻으로 하는 일도 중도적이면 좋은 결과가 생긴다. 극단적이면 평화 대신에 다툼이 있고 관용 대신에 배척이 있고 사랑 대신에 미움이 있고 조화 대신에 분열이 있고 성공 대신에 실패가 있다. 극단적일 때는 항.. 마음고요 2012.04.26
행복이란.. 행복이란.. 밖에서 오는 행복도 있겠지만 자기 마음안에서 향기처럼, 꽃향기처럼 피어나는 것이 진정한 행복입니다. 그것은 많고 큰 데서오는 것이 아니고 지극히 사소하고 아주 조그만한 데서 찾아 옵니다. 조그만한 것에서 잔잔한 기쁨이나 고마움을 느낄 때 그것이 바로 행복입니다. .. 마음고요 2012.04.25
지혜가 있으면 .. 지혜가 있으면 .. 지혜가 있으면 탐착이 사라지나니 ... 항상 스스로 반성하여 마음에 허물이 없게 하라. 이렇게 행하는 사람은 부처님 가르침 속에서 능히 해탈할 수 있지만 만약 그렇지 않으면 그는 이미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지도 믿지도 않는 자이다. < 불유교경 > 마음고요 2012.04.17
얼 굴 얼 굴 아름다운 얼굴을 가지려면 자신의 영혼을 맑고 아름답게 가꿔야 한다. ... 얼굴이란 무엇인가 얼(魂)의 꼴이란 뜻이다. 얼을 아름답게 가꾸면 그 꼴인 얼굴은 저절로 아름다워 진다. 맑은 영혼이 빠져나간 얼굴 그것은 빈 껍질이다. 혼이 없는 얼굴은 빈 껍질인 것이다. < 法頂 스님.. 마음고요 2012.04.17
묵언 수행 묵언 수행 / 법상스님 말을 아끼는 사람은 그만큼 밖으로 빼앗기는 말의 기운을 돌이켜 내면으로 살찌울 수 있는 토대를 만들 수 있습니다. 말은 밖으로 치닫는 연습이며, 묵언은 안으로 치닫는 공부입니다. 묵언 수행만으로도 우린 내면 관찰의 힘을 한껏 높일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말.. 마음고요 2012.04.16
이른 아침 나를 보라 ♠[ 이른 아침 나를 보라 ]♠ 분노가 일어나면 밖으로 나가서 걷기 명상을 하는 것이 좋다. 신선한 공기와 싱그러운 나무와 식물은 우리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다음 구절을 암송하며 수련해 볼 수 있다. 숨 들이쉬면, 분노가 내 안에 있음을 안다. 숨 내쉬면, 분노가 나임을 안다. 숨 들.. 마음고요 2012.04.16
견해의 다양함 견해의 다양함 사람들은 저마다의 생각을 가지고 있어 하나로 의견으로 모으기 어렵다. 의견이 모아졌다고 해도 일시적인 봉합이며 반드시 분열의 과정을 거친다. 견해의 다양함은 발전의 요소가 될 수 있고 불화의 요소가 될 수 있다. 견해가 다양한 것을 존중하면 불화의 요소가 발전.. 마음고요 2012.04.16
공(空) 공(空) 비었다고 해서 무조건 공(空)이 아니다. 탐욕, 성냄, 어리석음이 없어야 공이다. 비었다고 해도 자아가 있으면 공이 아니다. 무아를 알아 집착이 끊어져야 공이다. 공이라고 해서 아무것도 없는 것이 아니다. 몸과 마음은 있지만 자아가 없는 것이 공이다. 무조건 없다고 하면 허무.. 마음고요 2012.04.12
조용히 나를 생각하는 시간 조용히 나를 생각하는 시간 자신의 행복을 헤아려 보라. 행동하기 위해서, 거기에 자신을 끌어들이기 위해서 이것이 자신의 기질을 관찰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 자신의 행복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은 큰 기술이다. 때때로 기다리면서 왜냐하면 인내에는 장점이 있으므로 때때로 밀고 나.. 마음고요 2012.04.10
경을 지니는 공덕 경을 지니는 공덕 참 나를 모르고 일생을 허송 세월하네. 네가 제일이니 내가 제일이니 분분한 시시 비비 끊이지 않네. 반야의 지혜는 샘물과 같네. 넘치고 또 넘쳐도 모자람이 없네. 부처님 설하신 금강의 가르침은 온 세상을 다 주고도 바꿀 수가 없다오. 당신은 어둠을 밝음으로 어리석.. 마음고요 2012.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