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성제(四聖諦) ② *사성제(四聖諦) ②* 중생 삶의 모습, 괴로움과 그 원인 한치 앞을 모르면서 이러쿵저러쿵 내세우는 것이 우리의 삶이다. 자신은 늘 그렇게 문제없이 살아갈 것 같지만, 결국 자신도 힘든 환경에 처한 뒤, 주위를 둘러보지 못한 것에 뒤늦은 후회를 한다. 그런데 잊고 있거나 단지 .. 불교의 이해 2011.11.13
사성제(四聖諦) ① ***사성제(四聖諦) ①*** 위대한 의사가 내린 삶에 대한 처방전 몸에 이상이 와서 병원에 갔다. 그런데 의사는 금방 아픈 곳을 알아내고 병의 원인인 생활 습관을 귀신 같이 알아 낸다. 의사에게 강한 믿음이 간다. 더구나 의사선생님은 곧 완쾌될 수 있으며 재발하지 않으니 걱정하.. 불교의 이해 2011.11.13
*♣ 사성제(四聖諦) *♣*사성제(四聖諦)*♣* 사성제(四聖諦, 산스크리트어: Āryasatya) 또는 사제(四諦)는 아함경(阿含經)에서 가르치는 법 가운데 하나로 '네 가지 높은 깨우침'(Ārya: 높은, Satya: 깨우침)을 뜻한다. 고(苦), 집(集), 멸(滅), 도(道)의 4가지로 나뉘며, '제'(諦, satya)는 진리를 말한.. 불교의 이해 2011.11.13
삼보에 관한 실천인식 2 ***삼보에 관한 실천인식 2*** 삼보에 관한 마지막 글이므로 이제는 정리를 해야 할 것 같다. 붓다(Buddha)와 다르마(Dharma) 그리고 쌍가 (Sam.gha)를 삼보(tri-ratna)라고 정의하고, 각각에 부여 된 개념을 풀이하였다. 삼보는 각자의 고유성과 독자성을 가지면서도, 서로 떼어 놓으려고 해도.. 불교의 이해 2011.11.13
팔정도에서 왜 ‘정견(正見)’이 가장 먼저일까 팔정도에서 왜 ‘정견(正見)’이 가장 먼저일까 인류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사람을 들라면 보통 네 명을 든다. 흔히 ‘사대성인’이라라고 불리우는 부처님, 예수, 공자, 소크라테스이다. 모두 인류문명의 개화기에 활동하였던 인물들이다. 그렇다면 그들의 가르침은 어떤 것일까... 불교의 이해 2011.11.13
계율과 참회 계율과 참회 계율(戒律)이란 앞으로 잘못된 짓을 하지 않겠다는 다짐으로 미래지향적이다. 우리는 흔희 계율을 금기사항으로 알고 있지만 잘못된 생각이다. 예를 들어 ‘개조심’이라고 적힌 집에 들어설 때 조심해서 들어가면 물릴 확률이 떨어지게 된다. ‘낙석조심’, ‘가스불 조심’과 같은 문.. 불교의 이해 2011.09.29
七佛通戒(칠불통계) 七佛通戒(칠불통계) 초기경전 중의 <<출요경(出曜經)>>과 <<법구경>>등에서 설하는 칠불통계(七佛通戒)는 어느 한 부처님의 가르침이 아니라, 과거에 있었던 일곱 부처님[비바시불, 시기불, 비사부불, 구류손불, 나함모니불, 가섭불, 석가모니불]이 한결 같이 설한 계(戒)라는 뜻에서 칠.. 불교의 이해 2011.09.29
사찰의 의미(寺 精舍 院) 사찰의 의미 사찰의 중심을 이루는 것은 승원(僧院)과 당(堂)입니다. 당은 일반적으로 사원의 중심이 되는 불당을 말하는 것으로 다른 말로는 금당 또는 법당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본래 당이라는 것은 불상을 봉안한 불당이나 법당 뿐만 아니라 경전을 보관하는 장경각과 강당 등도 포함하고 있습니.. 불교의 이해 2011.09.29
[스크랩] 마음의 고향 24집 사성제. 팔정도 마음의 고향 24집 사성제(四聖諦) · 팔정도(八正道) 중도(中道)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에는 깊고 얕은 것이 있습니다. 초기에 말씀하신 법문은 일반 중생의 근기(根機)에 맞추어서 ‘있다 없다’하는 우리 중생의 범부(凡夫)소견에 맞추어서 “선(善)도 있고 악(惡)도 있고 천상(天上)도 있다”라고 .. 불교의 이해 2011.09.26
금강경 사구게, 니까야에도.. 금강경 사구게, 니까야에도 있었네! 우리나라 스님들의 법문을 들어 보면 금강경에서 단 한 발자국도 못 나가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거의 대부분의 선사들이 금강경의 한 구절 또는 사구게를 이용하여 법문을 펼치는데, 법문을 많이 듣다 보면 어느 스님이나 똑 같은 구절, 똑 같은 게송을 재차 언급.. 불교의 이해 2011.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