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 혜연선사 발원문 이산 혜연선사 발원문 시방삼세(十方三世) 부처님과 팔만사천(八萬四千) 큰 법보(法寶)와 보살성문(菩薩聲聞) 스님네께 지성귀의(至誠歸依) 하옵나니 자비하신 원력(願力)으로 굽어살펴주옵소서. 저희들이 참된 성품 등지옵고 무명(無明) 속에 뛰어들어 나고죽는 물결따라 빛과소리 물이들고 심술궂.. 불교의 이해 2005.10.01
금강경 금강경 法會因由分 第一 (법회인유분 제 1) 여시아문 일시 불 재사위국 기수급고독원 여대비구중 천이백오십인구 이시 세존 식시 착의지발 입 사위대성 걸식 어기성중 차제걸이 환지본처 반사흘 수의발 세족이 부좌이좌 善現起請分 第二 (선현기청분 제 2) 시 장로수보리 재 대중중 즉종좌기 편단우견.. 불교의 이해 2005.09.29
참회하는 법 * 懺悔하는 법 [용수보살-大智度論] 만약 보살이 죄를 참회하려 하면, 이렇게 말해야 하나니, 시방세계 중에 계시는 모든 부처님께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서 법륜을 굴리고, 법비를 내리고 법북을 치고, 법소라를 불며 법의 당기를 세우시어 법을 보시함으로써 중생들을 만족시키며, 이익되는 .. 불교의 이해 2005.09.26
예불대참회문 예불대참회문 禮佛大懺悔文 예불 대자비로 중생들을 불쌍히여겨대희대사 베푸시어 제도하시고수승하신 지혜덕상 장엄하시니 저희들이 지성으로 예배합니다. 지심귀명례 금강상사.귀의불 귀의법 귀의승. 제가이제 발심하여 예배하옴은제스스로 복얻거나 천상에나며성문연각 보살지위 구함아니.. 불교의 이해 2005.09.26
화두 - 성철스님 화두(話頭) 마음 닦는 공부 중에서도 참선이 제일의 첩경이다. 화두를 열심히 하다 보면, 일상생활 속에서도 화두가 간단없이 계속되고, 나아가 꿈속에서도 계속되는 경지에 이른다. 여기에서 더욱 노력하여 물러서지 않으면 깊은 잠이 들어도 화두가 역력히 계속되는 숙면일여(熟眠一如)에 이른다. .. 불교의 이해 2005.09.22
불교조계종 총무원장 법장(法長) 스님 원적 불교조계종 인곡(仁谷)당 법장(法長) 대종사 입적 ■인곡(仁谷)당 법장(法長) 대종사 입적■ 불교조계종 총무원장 법장(法長) 스님이 11일 새벽 3시 50분 서울대병원에서 64세를 일기로 입적했다.법장 총무원장의 장례는 종단장으로 치러지며, 빈소는 조계사 극락전(각 교구 본사별 빈소 설치)에 마련된.. 불교의 이해 2005.09.12
돈 없이 베푸는 일곱가지 (무재칠시 無財七施) ▶ 돈 없이 베푸는 일곱가지 (無財七施) 보시(布施)란 남에게 무엇을 베푸는 것을 말합니다. 이 보시에는 흔히 세 가지 형태의 보시가 있습니다. 《대지도론》 제 14에 보면, 보시의 유형으로 법시(法施)· 재시(財施)· 무외시(無畏施)를 들고 있습니다. 여기서 법시란 진리를 모르고 무명 속에 방황하는.. 불교의 이해 2005.09.11
생활수행의 시작과 끝 - 새벽예불 ● 생활수행의 시작과 끝 - 새벽예불 ● 하루 일과의 중심은무거운 눈꺼풀을 힘겹게 들어올리는새벽녘 바로 그 순간에 있습니다. 우린 그 소중한 순간을소홀히 놓쳐버리는 경우가 너무도 많습니다.잠이 모자란 듯 흐리멍텅한 눈빛으로그렇게 새벽을 보내는 이의 하루는맑고 청정하기가 힘듭니다.. 불교의 이해 2005.09.07
불공 불 공(佛供) 불보살에 대한 공양 ‘의례화’… 재가자의 중요한 신행 불공은 재가신자들이 부처님께 공경하는 마음으로 향 등불 꽃 차 과일 등의 공양물을 올리는 가장 중요한 불교의식 중의 하나다. 불공은 또 단지 부처님 전에 음식을 올려놓고 절하며 복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부처님의 한량없는 공.. 불교의 이해 2005.09.01
기도 가피 ■기도 가피■ 한 처자가 있었답니다 아릿다운 자태에 여자가 갖추어야 할 솜씨며 맵씨며 마음씨까지 다 갖춘 훌륭한 규수이다 보니좋은 혼처를 만나 일찌감치 가정을 이루었습니다 행복한 삶이 시작 되는가 하더니우연히 앓게 된 병이 깊어나중에는 온 몸에 창병이 생겨여기 저기 고름이 나고 딱.. 불교의 이해 2005.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