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잘 하는 법 수행 잘 하는법 / 경허선사 공부하는 사람은 마음 움직이지 않기를 산과 같이 하고 마음 넓게 쓰기를 허공과 같이 하고 지혜로 불법 생각하기를 해와 달 같이 하며 남이 나를 옳다고 하든지 그르다고 하든지 마음에 끄달리지 말고 다른 사람의 잘하고 잘못하는 것을 내 마음으로 분별하여 참견말고 좋.. 불교의 이해 2005.11.25
염불수행의 원리 [염불수행의 원리] 염불은 자신의 본성이 부처임을 믿고 자기 마음 가운데서 부처를 찾는 것이다. 이것은 염불만의 일이 아니고 불교의 모든 수행의 목표이다. 그런데 염불이 탁월한 점은 이행도라는 것이다. 이행도의 뜻은 앞서도 말했듯이 실행하기 쉽고 증득하기 쉽다는 말이다. 어떻게 이것이 가.. 불교의 이해 2005.11.17
이른 아침에 나를 기억하라 고통은 동정심을 기른다 나는 지난 30년 간 베트남에서 "참여 불교"를 수련해왔다. 전쟁 중 우리는 명상실에 앉아 있기만 할 수는 없었다. 특히 고통이 극심한 곳을 중심으로 여러 곳에서 <마음 집중>을 수련해야만 했다. 전쟁 중에 마주친 엄청난 고통들을 겪으면서, 우리 삶의 매우 의미 없고 무용.. 불교의 이해 2005.11.12
좌선법(坐禪儀) 좌선의(坐禪儀) 좌선의란 좌선하는 방법과 행동거지를 말한다. 좌선을 할 때는 그 기초가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뿌리가 깊을수록 나무가 잘 자라듯이 기본적인 좌선의 법식을 갖추는 것은 꼭 필요한 기초를 배우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한국불교에서 널리.. 불교의 이해 2005.11.12
법명(法名)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면 이름을 받듯이 부처님의 제자가 되면 새로운 이름을 받는다. 그 이름을 법명(法名)이라고 한다. 부처님의 법에 귀의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법명을 부여하는 것은 부처님의 제자가 되기 전과 그 후의 삶은 완전히 다르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즉 그 전에는 세속의 명리를 좇고 .. 불교의 이해 2005.10.21
신묘장구다라니 ♡신묘장구다라니♡ ◈신묘장구다라니◈ 신묘장구다라니 < 神妙章句大陀羅尼 신묘장구대다라니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알야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 불교의 이해 2005.10.21
목탁.. > 목탁을 치는 이유는 역사적인 유래로 2가지를 보통 들고 있습니다. 그외에 현실적인 이유도 두어가지 있습니다. * 목탁인 이유 목탁(목어)는 원래 물고기 모양입니다. 목어를 간단히 한 것이 목탁이죠. 하필 물고기 형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물고기는 잘 때도 눈을 감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 불교의 이해 2005.10.14
석가모니불 기도 ◆석가모니불 기도/이법산스님 정각원장◆ 사찰(寺刹)에 가면 대웅전(大雄殿) 가운데에 모셔진 부처님이 석가모니불이다. 가운데 주불(主佛)이 석가모니불이면, 왼쪽의 협시(脅侍)보살은 문수보살(文殊菩薩)이고, 오른쪽의 협시보살은 보현보살(普賢菩薩)이다. 석가모니불의 권능(權能)을 상징하는 .. 불교의 이해 2005.10.09
이산 혜연선사 발원문 - 월공스님 낭송 이산혜연선사 발원문 - 월공스님 보살성문 스님네께 지성귀의 하옵나니자비하신 원력으로 굽어살펴 주옵소서저희들이 참된성품 등지옵고 무명속에 뛰어들어 나고죽는 물결따라 빛과소리 물이들고 심술궂고 욕심내어온갖번뇌 쌓았으며 보고듣고 맛봄으로한량없는 죄를지어 잘못된길 갈팡질팡.. 불교의 이해 2005.10.01
법성게 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법의성품 원융하여 두모양이 본래없고)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모든법이 동함없이 본래부터 고요해라)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이름없고 형상없고 온갖것이 끊겼으니)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참지혜로 알일일뿐 다른경계 이니로다) 진성심.. 불교의 이해 2005.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