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씨앗이.. 하나의 씨앗이 당신의 마음에 어떤 믿음이 움터 나면 그것을 가슴속 깊은 곳에 은밀히 간직해 두고 하나의 씨앗이 되게 하라. 그 씨앗이 당신 마음의 토양에서 싹트게 하여 마침내 커다란 나무로 자라도록 기도하라. 묵묵히 기도하라 사람은 누구나 신령스런 영혼을 지니고 있다. 우리가 거칠고 험난.. 마음고요 2011.05.21
기도하는 자세 기도하는자세 / 무불스님 기도 하기전에 3.가지을 다짐해야한다. 첮째.계를 지켜야 한다. (1.죽이지 말라 -생각이나 말로도 죽여서는 안된다. (2.주지않은 것을 갖지말라.- 심지어 길에 떠러진 돈이라도 줒지 말라. (3.간음하지 말라.-남편있는 남의 아내.-아내가 있는 남의 남편 .미성년자 (4... 마음고요 2011.05.16
기분 기 분 자기 기분이 좋으면 좋은 일이 생겼을 때 기분이 좋고 나쁜 일이 생겨도 관대하게 수용한다. 자기 기분이 나쁘면 좋은 일이 생겼을 때 기분이 나쁘며 나쁜 일이 생기면 더욱 화를 낸다. 자신의 감정에 따라 좋은 일과 나쁜 일이 다르다. 나의 기분에 따라 반응이 다르므로 남도 기분에 따라 반응.. 마음고요 2011.05.16
알아차림과 분명한 앎 인경스님의 명상수행 에세이 12. 알아차림과 분명한 앎 알아차림(sati)과 분명한 앎(sampajana) 위빠사나 명상수행의 경전적 근거는 『염처경(念處經)』이다. 여기서 염처란 '알아차림의 확립(satipatthana)'으로 번역된다. 어원적으로 보면 'sati'는 '알아차림'으로 'patthana'는 '확립'에 해당된다. 다시 확립으로 .. 마음고요 2011.05.13
[스크랩] 108참회문 108 참회문 - 모든 생명을 지극히 내 안에 모시고 살림의 장을 확산해 나가는 생명과 평화를 위해 . 108배를 올립니다 - 1. 나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를 생각하며 첫 번째 절을 올립니다. 2. 이 세상에 태어나게 해 주신 부모님께 감사하며 두 번째 절을 올립니다. 3. 나는 누구인가?를 생각하며 세 번.. 마음고요 2011.05.02
[스크랩] 108배 절하는 법 - 합장하는 방법 : 합장은 불교의 독특한 예법입니다. 몸과 마음을 다 하나로 모은다(合)는 뜻으로, 일심으로 예의를 표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 합장입니다. 양손을 모아 손 바닦과 함께 손가락을 마주 대며, 손끝은 세우고, '손목과 팔꿈치사이의 팔'과 수직으로 한다. (정면에서 보면 'ㅗ' 형태) .. 마음고요 2011.05.02
지혜로운 삶 남의 조그만 허물을 꾸짖지 않으며, 남의 사사로운 비밀을 폭로하지 않으며, 지난날 남이 저지른 잘못을 생각하지 말라. 이 세 가지로 가히 덕을 기르며 또한 가히 해를 멀리할 것이니라. ------------------------<채근담> 심술궂은 호기심으로 당사자에게 있어서는 아픈 상처와 같은 말을 떠들어대고 다.. 마음고요 2011.05.02
정성으로 하는 기도 정성으로 하는 기도 기도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성(精誠)'입니다. 아니 정성스런 마음이 곧 기도인 것입니다. 나의 마음이 얼마만큼 정성스러운가에 따라 얼마만큼 마음을 담고 있는가에 따라 그 기도가 업장을 녹이고 말고 하는 것입니다. 매일 같이 기도를 하는 사람들을 보면 습관처럼 절을 하.. 마음고요 2011.04.29
죽음의 두려움 죽음의 두려움 인간으로 태어나는 것도 어려운 일이고 태어나서 살기도 어려운 일이지만 죽는 것은 가장 두려운 일이다. 태어날 때는 자신의 마음을 인식할 수 없어서 두려움을 모른다. 하지만 죽음은 인식할 수 있는 것이라서 그 자체가 두려움이다. 무엇이 자신의 죽음을 두렵게 하는가? 영원하기를.. 마음고요 2011.04.27
마음 마음 / 법정스님 모든 것은 지나간다. 개울가에 앉아 무심히 귀 기울이고 있으면 물만이 아니라, 모든것은 멈추어 있지 않고 지나간다는 사실을 새삼스레 깨닫는다. 좋은 일이든 궂은 일이든 우리가 겪는 것은 모두가 한때 일뿐, 죽지 않고 살아 있는 것은 세월도 그렇고 인심도 그렇고 세상 만사가 다 .. 마음고요 2011.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