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이해

무비스님 금강경 강의 - 法會因由分 第一

마음정원(寂光) 2005. 7. 27. 21:56

爾時에 世尊이 食時에 着衣持鉢하시고 入舍衛大城 乞食
이시   세존   식시   착의지발       입사위대성 걸식

하실새
그때 세존께서 공양하실 때가 되어, 가사를 입으시고 발우를 드시고
사위성에 들어가시어 걸식하시었다.


부처님께서는 하루에 사시(巳時), 죽 오전 9시에서 11시 사이 한 때만 공양하셨습니다.
공양은 언제나 걸식(乞食)으로 해결하시는데 걸식하러 나가실떄는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 부처님께서도 다른 제자들과 똑같이 나가셨습니다. 
하루에 한 번씩은 꼭 하시는 일상적인 일이었습니다. 
걸식하여 공양하시는 일상적인 일을 『금강경』의 서두에 올려두고 
이 경을 설하시는 동기로 삼았습니다.
‘걸식(乞食)’이란 다름아니고 바로 밥을 구걸하는 일입니다. 
목숨을 부지하기 위한 최후의 수단이 아니라면 보통사람으로서는 
매우 하기 어려운 일입니다. 
‘나’라는 체면과 자존심을 버리지 않고서는 그 천한 일을 할 수 없습니다.
“삼일 굶어서 도둑질하지 않을 사람은 아무도 없다."라는 말이 있듯이 
‘나’라는 체면과 아상(我相)을 버리지 못한 범인(凡人)으로서는 
훔치는 일보다도 구걸하는 일이 몇 배나 더 어려운 일인 것입니다.
부처님의 신분을 한 번 생각해 봅시다. 
일국의 왕자로서, 만인의 스승인 부처님으로서는 더욱 어려운 일입니다. 
자신을 철저히 비운 무아상(無我相)이 되지 않고서는 할 수 없는 일입니다.
부처님의 깨어 있는 눈에 비친 모든 존재는 인간을 위시하여 
그 어떤것도 실체(實體)가 없습니다. 
고정불변한 어떤 주체는 그 어디에도 없습니다. 
텅 비었습니다. 
저 높디 높은 가을하늘처럼 휭하니 비었습니다. 
무상(無相)이고 공(空)입니다. 
사물은 말할것도 없고 사람도, 사람의 마음도, 
그 마음이 일으키는 온갖 지식과 감정들도 모두 텅텅 비어 아무 것도 없습니다. 
이와 같이 볼 줄 아는‘깨어 있는 눈’이 바로 반야 지혜(般若 知慧)의 안목입니다.
『금강경』은 모든 존재의 무상(無相)을 꺠우치는 말씀입니다.
그 무상의 도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부처님의 걸식입니다.
‘걸식’이라는 말에서 『금강경』이 다 설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나’라는 알량한 상이 있어서는 걸식이 불가능하기 떄문입니다.
『금강경』의 서두에 걸식을 부처님의 일상적인 일 임에도 불구하고 
굳이 등장시킨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於其城中에   次第乞已하시고       還至本處하사     飯食訖하시고
어기성중     차제걸이             환지본처         반사홀
그 성중에서 차례대로 걸식하시고 나서 
본래의 처소로 돌아오시어 공양을 드셨다.

걸식(乞食)은 칠가식(七家食)이라고 하여 어느 지점에서 
시작하든지 시작한 곳에서부터 차례대로 일곱 집에서 음식을 비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큰 제자 가섭존자(迦葉尊者)는 조그만한 복이라도 짓게 하느라고 
가난한 집만을 찾아다녔습니다. 
반면에 수보리(須普리)는 신도들에게 폐를 끼치지 않으려고 부잣집만을 찾아 다녔습니다.
 그것을 보고 유마 거사(維摩 居士)는 아무리 좋은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하더라도 
가난하다 부자다 하는 차별을 내어 마음이 평등하지 못한 처사라고 경계하였습니다.
부처님께서도 선별하는 마음을 버리라는 뜻에서 차례대로 일곱 집에서 걸식하셨습니다. 
마음에 상(相)이 없으면 차별(差別)이 없으며, 
차별이 없으면 차례대로 여법(如法)하게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상을 떠난 반야 지혜의 안목에는 
차별이 있을 수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계속-

'불교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자의 올바른 기도법  (0) 2005.08.02
무비스님 금강경 강의 - 法會因由分 第一  (0) 2005.07.27
무비스님 금강경 강의 - 法會因由分 第一  (0) 2005.07.27
금강경 해제  (0) 2005.07.27
금강경의 위치  (0) 2005.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