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대유물연구
인면양문도분 新石器時代 / 섬서 서안 반파촌 출토
|
채도인면어문발 新石器時代 / 高16.5㎝ 口徑 39.5㎝
| ||||||||||||
포문도발 新石器時代 / 섬서 서안 반파촌 출토
|
도수기 新石器時代 / 山東 출토
| ||||||||||||
채도호 新石器時代 중기
|
회도관 新石器時代 중기
| ||||||||||||
비묘문갈도관 新石器時代 중기 / 高 11.5㎝ 口徑 8.9cm
|
비묘문갈도발 新石器時代 후기 / 高 8.0㎝ 口徑 9.5cm /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
채도 新石器時代 晩期
|
반산인수기개 新石器時代
| ||||||||||||
반산인수기개 新石器時代
|
토우 日 繩紋時代 中期 (新石器時代)
| ||||||||||||
회문경도호 殷 / 高 14.0㎝ 口徑 11.0cm
|
회도가채방호 春秋 - 戰國時代 / 通高 71.0㎝
| ||||||||||||
거설칠혼작태태극문합 戰國時代 (403 - 221 BC) / 高 11.3㎝ 底徑 8.5cm
| |||||||||||||
흑도기 戰國時代 / 高 41.1㎝ 最大徑 38.5cm
|
착금박산로 西漢
| ||||||||||||
태토우연승권상성형철사토채흑도기 前漢時代 BC 2C
| |||||||||||||
유금동기장신궁등 西漢
|
녹유문편호
| ||||||||||||
상두양이양음각다문백자병 北齊 (AD 550-577) / 高 18cm 口徑 6㎝ 腹徑 11㎝ 底徑 7.4㎝
|
갈유인물문편호
| ||||||||||||
갈유양음각다문관 北齊 (AD 550-577) / 高 12cm 底徑 9㎝
| |||||||||||||
청자개우 西晉 (AD 265-316) / 高 12.0㎝ 口徑 13.0cm
|
광개토지호태왕위패세척기 AD 415 乙卯
| ||||||||||||
삼채낙타 唐 / 河南 洛阻 出土
|
삼채황유절규마 唐 /
| ||||||||||||
唐
|
唐
| ||||||||||||
唐
|
唐
| ||||||||||||
가채무녀상 唐 / 高 37.5 cm / Korea, 서울 '龍睛 컬렉션' 전시품
| |||||||||||||
사자상 唐 /
| |||||||||||||
영청해태일쌍 北宋 (11世紀後期) / 高 11.5㎝ / 옳고 그름. 선악을 가리는 상징적인 상상상(想像上)의 동물이다. 그래서 중국의 궁궐(宮闕), 궁전(宮殿)등의 눈에 잘 띄는 자리에 한쌍으로 배치해 놓은 것이다.
| |||||||||||||
영청음각목단당초문토노병 北宋初 (AD 1000年 前後) / 高20㎝ 口徑 7㎝ 底徑 18.5㎝
|
백자수화목단당초문병 北宋 / 定窯 / 高 13.3㎝ 胴徑 18.2㎝
| ||||||||||||
영청자기과형연판문수주좌대 北宋代 11C 前期 /
| |||||||||||||
영청목단문팔각수주 北宋代 11C 中期 / 高 18.0cm
| |||||||||||||
영청양각목단매병 北宋 (11C 前期) / 高25.3㎝ 口徑 3㎝ 底徑 8.7㎝
|
철사목단당초문매병 北宋 (11C 後期) / 高27.2㎝ / 신안해저인양유물
| ||||||||||||
영청양각목단화병 北宋 (11C 前期) / 高22.2㎝ 口徑 9㎝ 底徑 9㎝
|
각화모란문병 北宋 / 耀州窯 / 高 19.9㎝ 口徑 6.9㎝ / 故宮博物院 所藏
| ||||||||||||
영청자기하강선녀상 北宋 (11C 中期) / 高20.3㎝
|
영청봉두음각국화당초연적 北宋代 11C 中期 /
| ||||||||||||
영청자기관음좌상 北宋 (11世紀中期) / 高 26.7㎝
|
영청자기천수관음좌상 北宋 (11世紀中期) / 高 18.2㎝
| ||||||||||||
영청무문소개관 北宋 (11世紀中期) / 高 7.9㎝ 底徑 5.2cm
|
영청호로용주자 北宋 (11世紀中期) / 高 12.3㎝ 口徑 3.8cm
| ||||||||||||
北宋 11C 初期
|
北宋 11C 中期
| ||||||||||||
투각괴수오족각담청자기향로 北宋 / 高 26.5cm
|
청자양각목단호로병 北宋 (11C 中期) / 高31㎝ 底徑 9㎝
| ||||||||||||
퇴첩용운화청자대반 北宋代 11C
|
퇴첩용운화청자대반 元代 AD 1271-1368
| ||||||||||||
청자어환양이화병 宋代 / 高 16.2㎝ 口徑 5.5cm 底徑 6.0cm
| |||||||||||||
Celadon glazed vase with phoenix handles. Southern Song - Yuan Dynasty, 13th century. / H. 31.5, mouth D. 11.7, bottom D. 10.7. / 일본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
청자어양이화병 宋代 / 신안해저인양유물
| ||||||||||||
백지흑화대송황경원년이월삭일명호 南宋 / 高 21.0㎝ 腹徑 19.0cm / 大宋皇慶元年二月朔日은 서기 1195년 2월 1일을 뜻한다. 신안해저인양유물은 거의 다가 남송대 이전 것이란 결정적인 증거가 되는 아주 귀중한 도자기이다. / Korea 서울 '龍睛컬렉션' 전시품
|
백지목단흑채문호 南宋 / 23.0㎝ * 19.0cm / Korea 서울 '龍睛컬렉션' 전시품
| ||||||||||||
채색자기 金 (AD1115-1234)
|
양이유리홍석류연판도문병 南宋末 / 高 19.0㎝ 口徑 5.8cm 底徑 6.5cm / 이 병에는 위 좌측 靑白磁雲龍文梅甁에 들어있는 雲·濤·蓮瓣紋이 수개의 빗살로 획각(劃刻)한 그대로의 양식으로 되어있다.
| ||||||||||||
청화인물복명마상배 元末 14C/ 高 11㎝ 口徑 10.2cm 底徑 4.9cm /
| |||||||||||||
靑花魚藻文壺 元代 14C
|
靑華釉裏紅魚蓮洪武年製銘罐 明 洪武年製 14C
| ||||||||||||
影靑磁器陽刻龍牧丹唐草紋甁
| |||||||||||||
청화반용천구병 明 / 永樂窯
|
청화운용문대편호 明 / 宣德窯 /
| ||||||||||||
일용일봉내부영락년제명압수배 AD 1403-1424
|
녹채용문완 明代 成化
| ||||||||||||
영락요청화화훼편호 明 / 永樂年製((1403-1424 AD) / 高 24.0㎝ 深 21.3㎝ 口徑 3.5cm 底徑 7.4cm
|
청화산경인물대명선덕년제명관
| ||||||||||||
청화검무도대명경태원년제명장경병 明 / 大明景泰年代 (1450-1457 AD) / 高 31.0㎝ 口徑 3.8cm 底徑 7.7cm
| |||||||||||||
소삼채칠흑지대청강희년제명사각대방병
| |||||||||||||
홍록채직경병 淸 康熙 / 高 42.6㎝ / 대북 고궁박물원 소장
|
유리홍운룡어도문장경병 大淸乾隆年代 (1736 - 1795 AD) / 高 28.0㎝ 底徑 9.0cm / 魚食하는 순간을 잘 포착하여 역동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 ||||||||||||
오채매국연목단송금대청건륭년제명방병 大淸乾隆年代 (1736 - 1795 AD) / 高 25.0㎝ / 능란(能爛)한 기예(技藝)의 격조(格調) 높은(高) 채색화(彩色畵)가 들어있는 자기병(磁器甁)이다.
|
분채구도병 淸 乾隆窯 / 高 52.1㎝
| ||||||||||||
용천요매병 南宋 / 高 28.5㎝ / 수창현문물관리위원회 소장
|
도자기침 元 AD 1271-1368 /
|
'좋은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漁의 가르침 (0) | 2005.10.18 |
---|---|
무존소림(소림사) (0) | 2005.09.30 |
중국여행(산동성 청도) (0) | 2005.09.30 |
중국여행 (0) | 2005.09.30 |
불교 - 신문, 방송, 출판 (자료) (0) | 2005.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