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의 향기

팔공산 관봉 선본사 - 갓바위 부처님

마음정원(寂光) 2011. 10. 3. 13:14


팔공산의 남쪽 봉우리 관봉(冠峰) 정상에 자리하고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불 좌상으로서, 전체 높이는 4m에 이른다. 관봉이 곧 우리말로
'갓바위'이므로 흔히 '갓바위부처님'이라고 부른다. 또 머리에 마치 갓같은 판석(板石)이 올려져 있기에 그렇게도 부른다. 관봉은 인봉(印峰).노적봉(露積峰)과 함께 팔공산의 대표적 봉우리로서 해발 850m의 고봉(高峰)이다. 그래서 이 곳에서는 팔공산의 서남쪽이 모두 두루 조망(眺望)된다.

이 부처님은 화강암 한 돌로 만든 것인데, 몸뿐만 아니라 대좌도 역시 한 돌로 되어 있다. 불상의 광배(光背)는 없지만 뒤쪽에 마치 병풍을 친 듯 기다랗게 바위가 둘러져 있어 혹시 이 자연 바위를 광배로 삼았기 때문에 따로 광배를 만들지 않았는지도 모르겠다.

머리는 소발에 육계가 큼직하고 그 위로 두께 15cm정도의 흡사 갓모양을 한 얇은 바위가 얹혀졌다. 바위 아랫면에는 육계에 맞닿는 곳에 둥근 구멍을 파서 육계에 맞도록 하였으며, 웃면 가운데는 같은 식의 둥근 구명을 도드라지게 하고 그주위에 화판(花瓣)을 조각했다. 그래서 어느정도는 인공적 조각임을 느끼게 한다. 얼굴은 양쪽 볼이 두툼하게 되어 있는 등 비교적 둥글고 풍만한 편이다. 입술은 굳게 다물어 대체로 근엄한 표정을 짓고 있으며 이목구비가 조화스럽게 잘 표현되어 있다. 이마 한 가운데는 백호(白毫)가 둥글게 솟았고, 오똑한 코 아래의 인중도 두드러지고 있다. 두 귀는 길게 양쪽 어깨에까지 늘어졌으며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하다.

두 어깨는 반듯하고 넓어 당당한 신체와 잘 어울리고 있다. 오른손은 오른쪽 무릎 위에 올려놓고 손가락을 아래로 향하고 있어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과 비슷한 수인(手印)을 하고 있다. 이 수인은 석굴암(石窟庵) 본존불의 그것과 양식상 흐름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왼손은 결가부좌한 왼쪽 발 부근에서 손바닥을 위로 향해 약합(藥盒)을 올려놓았다.

불상에 표현된 불의(佛衣)는 통견(通肩)인데 두 팔을 거쳐 두 무릎을 덮고 대좌 아래로 흘러내려 있으며, 불의의 옷주름을 표현한 선각(線刻)이 매우 유려하다. 그리고 가슴 앞에는 속옷의 일종인 승가리(僧伽梨) 혹은 군의(裙衣)의 띠매듭이 보인다. 불상의 뒷면에는 옷의 표현이 없고 그냥 평면으로 되어 있다.

대좌는 신체에 비해 작은 편이다. 대좌 윗부분에는 길게 입은 옷의 끝자락이 엎고 있는데 이같은 대좌 형식을 상현좌(裳懸座)라고 한다. 이것은 팔공산 부근에 있는 군위(裙衣) 삼존불 가운데 본존불의 대좌형식과도 유사하다.

이 갓바위 부처님은 절에 전하는 바로는 원광법사(圓光法師)의 수제자인 의현대사(義玄大師)가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638년(선덕왕 7)에 조성한 것이라 한다. 그러나 전체적 양식으로 보아 8~9세기 작품으로 보이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정설이다. 현재 보물 제 431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불상의 학술상 정식 명칭은 '관봉석조여래좌상'. 이름에서 굳이 약사불인 것을 밝히지 않은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그간 이 부처님의 명칭에 대해 미륵불, 아미타불 등 이론(異論)이 없지 않았다. 그러나 위에서도 말했듯이 왼손에 보면 약합이 있는 것이 뚜렷하다. 또 옛날부터 이 부처님을 찾는 사람들은 모두 약사여래로 생각하고 있었다. 단순히 전하는 말이라고는 하지만 그것이 근거 없이 전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그리고 어쨌든 손위의 약합이 분명한 이상 앞으로는 약사여래로 부르는 것이 옳을 듯 하다.

현재 갓바위 부처님 앞에는 약 80평 가량 널찍하게 터가 닦였고, 바닥에 돌이 깔리고 주위에는 철제 난간이 둘러쳐져 있다. 또 그와 함께 선본사에서 올라오는 길이 좀 더 넓혀지고 계단과 철제 난간이 많이 보완되었다. 그래서 예전에 비해 한결 기도드리기 편하게 되었다.


신자(臣子)가 정성을 쌓으매 구하는 것은 꼭 이루어질 것이며, 부처와 천신께서 약을 주시니 병이 낫지 않음이 없으리다. 이에 붉은 정성을 다하여 가만히 도우심을 바라나이다.

엎드려 생각하옵건대, 태상왕께서 해가 바뀔 때부터 병에 시달리셨다가, 저번에 하늘의 도우심을 받아 잠시 차도가 있었습니다. 건강해질 희망이 있다 하여 놀라운 기쁨이 평시보다 배가 더하였었는데, 나았다 더했다 서로 뒤치니, 두려워서 어쩔 줄을 모르겠나이다. 중생들의 생각은 대개 질병만을 걱정하나이다. 장년(壯年)의 때라도 오히려 위태롭고, 하루를 넘어도 벌써 괴로운데, 하물며 70세의 노쇠기에 다 석 달이 넘는 오랜 병이겠습니까. 좋은 의술이 없음을 탄식하고, 부처님의 함께 의탁하려 합니다.

듣자오니 석가모니께서 경을 설하실 때에 특별히 약사여래의 발원이 깊은 것을 말씀하시되, "맹세코 병고에 신음하는 이를 구제하려고 손바닥에 바리를 들고 다닌다." 하였으니, 부처께서 어찌 헛말을 하시겠습니까. 내가 이에 징험(懲驗)합니다. 이에 스님들을 모아 법회의 자리를 베풉니다. 천명의 합장 정진으로 백억 신(身) 부처님의 돌보심을 얻고자 합니다.

엎으려 원하옵건대, 부처님께서 태상왕이 여러 해 동안 귀의한 간절함을 어여삐 여기시고, 소인이 한 마음으로 기도하는 정성을 생각하시와 큰 자비를 내리어 본래의 서원을 어지기 않으시와, 우리 태상왕으로 하여금 몸이 경쾌하고 기운이 순하여서 모든 병의 뿌리를 갑자기 녹여 없애며, 음식이 맛있고 잠이 편안하여 길이 만년의 수명을 누리게 해 주시옵소서.

-「동문선(東文選)」제113권.
<정릉행태상왕구병약사정근소(貞陵行太上王救病藥師精勤梳)>

조선초기의 대학자 변계랑(卞季良,1369~1430)이 쓴 <정릉에서 태상왕의 병을 구하고자 약사 정근을 거행하는 글>의 내용이다.
숭유억불을 국가의 기본 시책으로 내세운 조선 왕조에서 약사불에게 국왕의 치병과 장수를 기원하는 애틋한 글이다. 유학으로 무장하고 불교를 등한시했던 당시 사람들에게도 약사불은 치병을 위한 귀의의 대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약사불은 동방의 정유리세계(淨流璃世界)에 머물며 중생의 질병고를 치료하는 대의왕불(大醫王佛)이다. 이 부처님은 12가지 커다란 원을 세워 중생들의 온갖 고통을 소멸시킬 것을 맹세하였는데, 특히 중생의 질병에 가장 큰 주안점을 두었다.12가지 대원 가운데는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대승(大乘)의 가르침에 편안히 머물게 하거나 폭군의 악정에서 벗어나 사회적 부조리나 강도(强盜) 등의 해악을 면하게 하고, 기아(飢餓)에서 벗어나게 한다는 등의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 발원과 역할은 대승불교의 불보살들에게서 보편적으로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여섯 번째의 '일체의 신체장애자로 하여금 그 장애가 완전히 회복되도록 하는 서원'과 일곱 번째의 '온갖 질병을 다 없애고 몸과 마음이 안락하여 위없는 깨달음을 이루도록 하는 서원'이 약사불을 대표하고, 또 이기능이 생로병사에 시달리는 중생들에게 가장 매력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이러한 약사신앙이 우리나라에서는 일찍부터 유행하고 있었다. 앞에서 살펴본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전하는 밀본법사(密本法師)의 영험담과 함께 다음과 같은 김양도에 관한 일화는 신라 시대의 약사신앙을 잘 보여준다.

승상(丞相) 김양도(金良圖)가 어릴 때였는데, 어느날 갑자기 입이 붙어버리고 몸이 뻣뻣해지더니 말도 못하고 몸도 움직이지도 못하게 되었다. 집안 식구들은 귀한 아들이 석상처럼 굳어진 데 놀라서 야단법석이었다.
그런데 김양도가 가만히 보니 큰 귀신 하나가 작은 부하 귀신들을 거느리고 집안으로 들어와서는음식이란 음식은 다 맛을 보는 게 아닌가. 또 푸닥거리를 하러 온 무당이 굿을 할라치면 귀신들이 우르르 몰려 들어 욕을 해대는 통에 무당들도 쫓기듯 가버리는 것이었다.

김양도가 이런 사실을 알리고 싶어도 입이 붙어 말을 할 수가 없으니 답답할 뿐이었다. 김양도의 아버지는 무당굿을 해도 소용이 없자 이번에는 법륜사의 스님을 초청해서 불경을 읽어 달라고 부탁했다. 스님이 경을 읽기 시작하자마자 곧 큰 귀신이 나타나 부하 귀신들에게 쇠방망이로 스님의 머리를 내리치게 하였다. 쇠방망이를 맞은 스님은 피를 토하여 죽고 말았다.

김양도의 아버지는 집에 큰 귀신이 붙은 것을 알고 비로소 밀본법사에게 부탁하기로 했다. 사람을 보내 청했더니 곧 오겠다는 전갈이 왔다. 밀본이 오기로했다는 말을 들은 귀신들은 아연질색했다. 부하 귀신들은 겁에 질려 수군거렸다.
"밀본법사가 오면 우리가 불리할텐데 지금이라도 빨리 피하는게 좋지 않을까?"
그러자 큰 귀신이 눈을 부라리며 윽박질렀다.
"밀본이라는 자가 도대체 뭔데 너희들은 그렇게 안절부절 못하느냐? 제 아무리 신통력이 있다해도 내 앞에서는 어림없다."

귀신들이 옥신각신하고 있을 때였다. 갑자기 사방에서 갑옷을 입고 한 손에는 긴 창을 꼬나잡은 대역신(大力神) 여럿이 나타나더니 귀신들을 붙잡아 꽁꽁 묶어 버렸다. 그 뒤를 이어 수많은 천신들이 나와서 공손이 두 손을 모으고 둘러서서 기다리는데 마침내 밀본법사가 도착했다.

김양도는 그 자리에서 병이 나아 붙었던 입이 열리고 굳었던 몸이 풀렸다. 김양도가 그 동안 자기가 본 일을 낱낱이 얘기하자 모두들 놀라며 새삼스럽게 밀본을 우러러 보게 되었다.
이 일을 계기로 김양도는 독실한 불교 신자가 되어 흥륜사에 미륵상과 좌우보살상을 만들고 금색 벽화를 그려넣는 등 일생 동안 부처님 받들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