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의 향기

깊은 밤 그윽한 풍경소리 "성불사"

마음정원(寂光) 2011. 3. 16. 21:34

 

북한의 문화유산

 

 

 

 

 

깊은 밤 그윽한 풍경소리 "성불사"

 

 

 

 


성불사


성불사 깊은 밤에 그윽한 풍경소리.
주승은 잠이 들고 이 홀로 듣는구나.
저 손아 마저 잠들어 혼자 울게 하여라.

- 이은상


성불사(成佛寺)

 

황해북도 봉산군 정방리 정방산(正方山)에 위치한 사찰이다. 신라 말기인 898년(효공왕 2년)에 도선(道詵)이 창건하였고, 1374년(공민왕 23년)에 나옹(懶翁)이 중창하였다. 나옹은 건물의 중창뿐 아니라 다수의 석물을 새로 조성하였는데, 성불사를 비롯한 산내 암자에 15기의 석탑을 안치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대규모의 중창 기록은 없으며, 1569년(선조 2년) 설숭(雪崇)이 중수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진되었다. 1632년(인조 10년)에 외적의 침입에 대처하기 위하여 정방산에 성을 쌓은 이후부터 이 절은 해서지방의 종찰이 되었다.


성불사 응진전(應眞殿) - 국보급

    성불사

 

 

 

 

 

 

 

 

성불사에 있는 고려 말기의 불전(佛殿)으로 정면 7칸, 측면 3칸인 다포계(多包系) 단층 맞배지붕 건물이다.

배흘림기둥 위에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두르고, 이 위에 안팎 모두 1출목(一出目)인 간결한 포작(包作)을 쌓다. 바깥 두리기둥[外圓株]에 교두형(翹頭形) 첨차를 놓고 공간포(空間包)를 짜올려 다포계 형식을 취한 반면, 내부 고주(高株) 위에는 굽받침이 있는 곡주두(曲株頭), 곡소로, 단면이 쌍S자 모양인 첨차 등 주심포계 형식을 취하고 있어 고려 말기의 절충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외부로 나온 첨차의 쇠서는 끝부분이 둔하게 잘려 있고 아래쪽으로 쳐져 있으며, 첨차에서와 같이 공안(空眼)을 깊이 파내는 등 조선 초기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보의 단면은 위가 굵고 아래가 가는 항아리 모양이며, 대들보와 마루보 사이, 마루도리 밑에는 파련(波蓮)을 새긴 부재와 포(包)를 섞어서 만든 대공(臺工)을 세웠다. 또 마루보 위에 ㅅ자 모양 대공을 두어 마루도리를 받치고 있어서 우리나라 목조건축 가운데 오래된 법식(法式)을 따른 귀중한 예이다.

건물을 수리하면서 발견한 묵서명(墨書銘)에 의하면 고려 충숙왕 14년 (1327년)에 처음 지어졌고, 조선 중종 25년(1530년)에 수리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응진전은
경북 영주 부석사, 황북 연탄 심원사 보광전, 평북 박천 심원사 보광전 등과 함께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의 하나로 고려시대를 대표한다.

 더 큰 이미지를 보시려면 [
여기]를 누르세요. 
<
응진전 공포> 이미지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위에 설명한 다포계 건축양식의 도면을 첨부하였습니다. [
도면을 보시고] 윗글을 읽으면 이해가 쉬우리라 생각합니다.


성불사 오층석탑 - 국보급

    오층탑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높이는 4.22m이며, 국보급 문화재이다.

상하 2개의 부분으로 된 기단 위에 돌을 4각형으로 다듬어 5층으로 쌓았으며 층마다의 지붕돌에는 각각 3단의 굄을 새겨서 굄과 네 귀가 가볍게 들리도록 처마를 꾸몄다.

 더 큰 이미지를 보시려면 [
여기]를 누르세요.


성불사의 밤

    청풍루
   
성불사 청풍루
[
큰이미지]
 

 

이은상(李殷相)의 시조시를 가사로 하여 홍난파(홍蘭坡)가 작곡한 가곡. 작곡자가 미국유학 시절인 1932년경에 작곡한 곡으로, 1933년에 간행한 작곡자의 가곡작품집인 <조선가요작곡집>을 통해서 발표되었다. 작곡자 자신의 말에 의하면 이은상의 시가 마음에 들어 작곡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성불사의 밤'은 깊은 밤 산사(山寺)에서 느끼는 고독감을 잘 표현하고 있다. 보통 속도의 4분의 3박자, 가단조로 되어 있으며, 작은 세도막 형식의 유절가곡(有節歌曲)이다.

선율선의 기복이 적고 노래의 흐름이 완만하여 외향적인 감동보다는 내면적으로 축적된 감동을 불러일으켜 준다. 통속적인 애창가곡이며, 최초로 시조시를 가사로 택한 가곡 중의 하나이다.

 


인용 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저, 1991년
<사진으로 보는 북한의 문화유산> 동아일보사, 1997년

도깨비/무령왕릉/훈요십조/한글/강서대묘/진흥왕순수비/선죽교/성불사/을밀대/함흥본궁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