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황사에 모셔진 원효스님 영정
발심수행장 소개
-
발심수행장 소개
신라의 원효(元曉)가 출가 수행자를 위하여 지은 발심(發心)에 관한 글.
수행인이 부처될 마음을 일으켜 거룩한 행을 닦는 요긴한 말을 적은 총 706자의 사언절구(四言絶句)로 된 짧은 글이다.
내용은 애욕을 끊고 고행(苦行) 할 것, 참된 수행자가 될 것, 늙은 몸은 닦을 수 없으니 부지런히 닦을 것 등, 서론.본론.유통분(流通分)의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모든 부처님이 열반(涅槃)의 적멸궁(寂滅宮)을 장엄한 것은 한량없는 세월 동안 욕망을 버리고 고행 정진을 쌓은 때문이고, 중생들이 고해(苦海)의 불집 속에 사는 것은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 때문이며, 입산수도(入山修道) 한 모든 사람들이 큰 도(道)를 성취하고 싶은 마음은 누구에게나 있지만 애욕에 구속되어 실천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또한, 이 몸뚱이는 허망한 것이고 곧 무너질 것이므로 아무리 아끼고 보호해도 오래가지 않을 것이니, 세속에 대한 미련을 끊고 계행(戒行)을 철저히 지켜서 조사(祖師)가 되고 부처가 될 목표를 세워 정진하라고 하였으며, 만약 계행을 깨끗이 지녀 지키지 못하면 타인의 지도자가 될 수 없을 뿐 아니라, 시주의 공양(供養)과 예배도 받을 수 없다고 하였다.
그리고 수행 할 때는 계(戒)와 지혜를 쌍으로 닦을 것을 강조하였으며, 자리이타(自利利他)의 대승행(大乘行)을 닦아 청정한 마음으로 행하면 하늘이 찬양할 뿐 아니라 마침내는 여래(如來)의 사자좌(獅子座)에 나아간다고 하였다.
끝으로 세월의 덧없음을 강개 절묘한 문장으로 환기하여, 부서진 수레는 짐을 실을 수 없고 늙은 몸은 닦을 수 없는 것이니 발심수행이 급하고 급함을 간곡히 당부하였다.
무릇 모든 부처님들이 열반의 궁전에 장엄하게 자리하신 것은 억겁의 바다에서 욕심을 버리고 고행하신 때문이 며, 모든 중생들이 불타는 집의 문 안에서 윤회를 거듭하는 것은 무량한 세상에서 탐욕을 버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가로막는 자 없는 천당이건만 가서 이르는 자가 적은 까닭은 삼독과 번뇌로써 자기 집의 재물을 삼은 때문이며, 유혹하는 자 없는 지옥(惡道)이건만 가서 들어서는 자가 많은 까닭은 네 마리의 뱀과 다섯 가지 욕심으로 망녕스리 마음의 보물을 삼은 때문이다.
사람 가운데 그 어느 누가 산으로 돌아가 도 닦고자 아니 하겠는가 마는 그렇게 나아가지 않는 까닭은 애욕에 얽매여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깊은 산으로 돌아가 마음을 닦지 못하더라도 자신의 힘에 따라 착한 것을 행하는 일은 버리지 말라.
스스로 쾌락을 능히 버릴 수 있으면 성인과도 같이 믿음과 공경을 받을 것이며, 행하기 어려운 일을 능히 행할 수 있으면 부처님처럼 존중 받을 것이다.
재물을 아끼고 탐하는 자는 바로 마귀의 권속이며, 자비를 베푸는 자는 바로 법왕의 자식이다.
높은 산의 험준한 바위는 지혜로운 사람이 거처하는 곳이고 푸른 소나무의 깊은 계곡은 수행하는 자가 머무는 곳이니, 배고프면 나무 열매를 먹어 주린 창자를 달래고 목마르면 흐르는 물을 마셔 갈증나는 마음을 쉬게 할 것이다.
달디단 음식을 먹어 사랑으로 기를지라도 이 신체은 반드시 허물어질 것이며, 부드러운 옷을 입어 지키고 보호하더라도 이 목숨은 필연코 마침이 있을 것이다.
메아리가 울리는 바윗굴을 염불하는 불당으로 여기고, 애처로이 우는 기러기 소리를 기쁜 마음의 벗으로 삼으라.
절하는 무릎이 어름같이 시리더라도 불기운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없어야 하며, 주린 창자가 마치 끊어지듯 하더라도 음식을 구하는 마음이 없어야 한다.
1백년도 잠깐인데 어찌 배우지 않는다 말할 것이며, 한 평생이 얼마나 되관데 수행하지 않고 놀기만 할 것인가.
마음 속에 애욕을 떨쳐 버린 이를 이름하여 사문(沙門)이라 하고, 세속을 그리워하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출가 (出家)라 한다.
수행하는 자가 비단을 걸친 것은 개가 코끼리 가죽을 덮어 쓴 격이며, 도를 닦는 이가 애욕을 품는 것은 고슴도치가 쥐구멍에 들어간 격이다.
비록 재주와 지혜가 있으나 세속의 마을에 거처하는 자는 모든 부처님이 그 사람으로 인해 슬퍼하고 근심하는 마음을 일으키게 되고, 설령 도를 닦는 수행이 없더라도 산 속의 처소에 거주하는 자는 뭇 성인들이 그 사람으로 인해 기뻐하는 마음을 일으키게 된다.
비록 재주와 학문이 있더라도 계행(戒行)이 없는 자는 마치 보물이 있는 곳으로 인도하여도 일어나 가지 않는 것과 같으며, 비록 부지런히 수행하더라도 지혜(智慧)가 없는 자는 동쪽 방향으로 가고자 하면서 서쪽을 향해 나아가는 것과 같다.
지혜가 있는 사람의 수행은 쌀로 밥을 짓는 것과 같으며, 지혜가 없는 사람의 수행은 모래로 밥을 짓는 것과 같다.
모두들 밥을 먹어 주린 창자를 위로할 줄은 알면서도 불법을 깨우쳐 어리석은 마음은 고칠 줄을 모르는가.
수행과 지혜를 모두 갖추는 것은 마치 수레의 두 바퀴와 같으며, 스스로를 이롭게하고 나아가 다른 이를 이롭게 하는 것은 마치 새의 양쪽 날개와 같다.
죽을 얻고서 축원하면서도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면 그 역시 단월에게 수치스러운 일이 아니겠는가? 밥을 얻고서 찬불을 하면서도 그 이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그 역시 성현에게 부끄러운 일이 아니겠는가? 사람들이 똥벌레가 깨끗하고 더러운 것을 분별하지 못함을 싫어하듯이 성현께서는 사문(沙門)들이 깨끗하고 더러운 것을 분별하지 못함을 미워하는 것이다.
세간의 시끄러움을 버리고 천상으로 오르는 데는 계행(戒行)이 훌륭한 사다리이다.
그러므로 계행을 깨트린 이가 남을 위하는 복밭(福田)이 되려는 것은 마치 날개 부러진 새가 거북을 업고 하늘로 오르려는 것과 같으니, 스스로의 죄업을 벗지 못한 이는 다른 이의 죄업을 풀어 줄 수 없다.
그??계행이 없는 이가 어찌 다른 사람의 공양을 받을 수 있겠는가.
행함이 없는 빈 몸은 고이 기르더라도 이익이 없으며, 항상성이 없는 뜬 목숨은 사랑하고 아끼더라도 보존하지 못한다.
용상의 큰 덕(龍象德)을 가지기 바라거든 기나긴 고통을 능히 참아야 하며, 사자의 자리(獅子座)에 오르기 기대하거든 욕망과 쾌락과 영원히 등져야 한다.
수행하는 자로서 마음이 깨끗하면 모든 천신들이 함께 찬양할 것이며, 도를 닦는 이로서 여색에 연연하면 착한 신들이 버리고 떠날 것이다.
사대(四大)는 홀연히 흩어지니 보존하여 오랫동안 머물지 못할 것이며, 오늘 저녁이 될지도 모르니 아침부터 서둘러 행해야 할 것이다.
세상의 쾌락은 고통이 뒤따르니 어찌 탐내어 붙들 것이며, 한 번 참으면 길이 즐거울 것이니 어찌 수행하지 않겠는가.
도를 닦는 사람의 탐욕은 수행인의 수치이며 출가한 이의 부귀는 군자의 웃음거리이다.
핑계로 하는 말은 다하지 못하기에 탐욕의 집착은 그칠 줄 모르며, 이어지는 일은 끝남이 없기에 끊임없이 애착 을 가지게 된다.
이 일로써 한정을 지을 수 없기에 세상의 일을 버리지 못하며, 저 계책으로 시기를 그을 수 없기에 끊고자 하는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다.
오늘도 (세상과의 인연을) 다하지 못하기에 악업을 짓는 날자가 많아지게 되고, 내일 또한 (세상과의 인연을) 다할 가능성이 없으므로 선업을 지을 날자는 적어지게 된다.
올 해에 다하지 못하니 번뇌는 한이 없고, 내년에도 다할 가능성이 없으므로 깨달음(菩提)에 나아가지 못한다. 한 시간 한 시간 옮겨가니 하루는 어둠으로 신속이 지나가고, 하루 하루 옮겨가니 한 달은 그믐으로 신속이 지나가며, 한 달 한 달 옮겨가니 홀연히 연말에 이르고, 한 해 한 해 옮겨가니 잠시간에 죽음의 문에 도달한다.
부서진 수레는 구르지 못하듯이 늙은 사람은 수행할 수 없으니 누우면 게으름과 나태만이 생기며 앉아 있으면 난잡한 의식만 일어난다.
몇 생을 수행하지 않고서 헛되이 밤낮을 보내었으며, 이 빈 몸은 얼마를 살 것이관데 한 평생 수행하지 않는가? 몸은 반드시 끝마침이 있으니 내생에는 어찌할 것인가? 다급하고도 다급한 일이 어찌 아니겠는가!
'불교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침종송 (0) | 2007.06.17 |
---|---|
계초심 학인문 (0) | 2007.05.20 |
계(戒)정(定) 혜(慧)를 닦으라 (0) | 2007.05.20 |
불교의 개요와 역사 (0) | 2007.05.10 |
수행중에 나타나는 5가지 장애 (0) | 2007.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