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子로서의 自覺
계환 스님 (동국대 교수)
이 세상에는 참으로 어려운 일이 두 가지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 불자님들은
이미 이 두 가지를 모두 이룬 행복한 분들이지요. 정말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어떤 일인지 궁금하시죠?
하나는 ‘사람으로 태어나는 일’이고, 또 하나는 ‘불법佛法을 만나는 일’입니다.
현재 지구촌의 인구는 60억을 넘어서고, 종교 또한 1만2천여 개가 있다고 합
니다. 이렇게 수많은 사람들이 존재하고 또한 지금 이 순간에도 태어나고 있는
데, 인간의 몸 받기가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 하고 의아해하실 분도 없지는 않을
것입니다.
옛 어른들은 진리라고 하면 조금도 의심하지 않고 믿고 따랐지만, 시대적 가
치관이 바뀐 오늘날은 무엇이든지 과학적인 증명을 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종교와 과학은 그 영역이 분명히 다릅니다.
과학이 나 이외의 모든 영역을 대상으로 삼는 연구분야라고 한다면, 불교는
바로 나 자신을 밝히고자 하는 종교인 것입니다.
그리하여 불교에서는 인간으로 태어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설명
하기 위해 “맹구우목盲龜遇木과 침개상투針芥相投”라는 비유를 들고 있습니다.
‘맹구우목’이란 뜻은 망망한 대해 속에 눈먼 거북이가 한 마리 살고 있었는데,
그 거북이는 백년에 한 번씩 바다위로 고개를 내밀고 세상구경을 하다 들어가지
요. 그런데 마침 구멍 뚫린 널빤지 하나가 물결치는 대로 바람 부는 대로 이리저
리 떠다니고 있었는데 눈먼 거북이가 물위로 고개를 내밀었을 때, 그 널빤지의
구멍에 딱 들어맞게 목을 내밀고 잠시 쉬었다가 들어갈 수 있는 확률, 그것을 가
리키는 말입니다.
그 다음 ‘침투상개’란 뜻은 원래 수미산須彌山에 비유한 내용이지만, 실감이
가지 않으니까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다는 63빌딩으로 하지요.
그 63빌딩 옥상에서 겨자씨 한알을 아래로 떨어뜨리고 다시 바늘 하나를 아래
로 던져서 바로 그 바늘이 겨자씨에 꽂히게 하는 확률을 말합니다. 그 어느 쪽
도 확률로 말하자면 거의 기적에 가깝습니다.
이와 같은 것을 의학계에서는 평균 1억 분의 1의 확률로 정자와 난자가 결합
한다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렇게 어려운 관문을 거쳐서 사람으로 태어나게 된 것은 참으로 희유
稀有한 일입니다. 게다가 수십 억이 되는 사람들 속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만
날 수 있는 인연 또한 희유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렇게 지면을 통해서나마
부처님의 말씀을 함께 나눌 수 있으니 얼마나 지중한 인연이겠습니까? 우리는
이러한 인연을 소중히 받아들이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가 인간 이외의 가령 동물로도 태어날 수 있다는 말에 거
부감을 느끼시는 불자님들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한 번 생각해 보십시오!
우리 인간은 경험적 동물입니다. 경험한 세계의 실재는 인정하지만 경험하지
못한 세계에 대해서는 의혹의 눈길을 보내게 됩니다. 그러나 인간의 행위는 새
로운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따라서 우리들의 내면에 지니고 있는 갖가지 동물
적인 요소도 사실은 경험적 축적과 결코 무관하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무수한 세월동안 여러 과정을 거친 후에 비로소 인간의 몸으로 태어났
기 때문에 인신난득人身難得이라고 하고, 수많은 종교 가운데 부처님의 법을 만
났기 때문에 불법난봉佛法難逢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왜 이토록 인간의 몸을 받는 것이 어려운가 하는 의문이 생길 것입
니다. 그것은 중생이 윤회하는 육도六道 가운데서 오직 인간 세계에서만이 수행
이 가능하고 또한 성불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도 인간 세
상에 오셔서 깨달으신 분이 아니십니까?
이렇게 희유한 만남을 통하여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어떤 자세로 불교 공
부를 해야 할까요? 그러기에 앞서 우리는 먼저 불교가 어떤 종교인가에 대해서
좀더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불교를 어떤 마음가짐으로 공부해야 하며, 불
교인으로서의 생활방식을 어떻게 실천해야할 것인지에 대한 올바른 방향이 잡
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불교를 한마디로 설명하고자 할 때는 불교사상이나 교리문제까지 언
급할 필요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때는 설명이 장황해지기 마련이니까요. 따라
서 무엇보다 간단한 방법으로는 불교라고 할 때의 ‘불교’라는 용어부터 설명하는
게 가장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첫째 불교는 부처님(佛)의 가르침(敎)이라는 뜻입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깨
달음 그 자체를 가리키는 말이지요. 다시 말하면 석존의 종교라고도 할 수 있는
데, 즉 삼보三寶 가운데 불보佛寶에 해당합니다.
둘째는 부처님(佛)이 생전에 설법하신 가르침(敎)을 불교라 합니다. 이는 부
처님이 45년간 설법하신 진리의 가르침으로, 법보法寶라는 말이 여기에 해당합
니다. 아무리 부처님께서 진리를 깨달으셨다 하더라도 그것을 중생에게 설명하
지 않으셨다면 지금 불교는 존재할 수가 없었겠지요. 그런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고 하겠습니다.
셋째는 부처(佛)가 되기 위한 가르침(敎)을 말합니다. 즉 성불成佛의 종교로서
일체 중생이 모두 성불할 수 있다는 가르침을 의미하지요.
이는 삼보 가운데 승보僧寶에 해당하지만 출가수행자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
니라, 전 불교교단을 지칭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불교를 진정 불교일 수 있게 하는 것은 다름아닌 세 번째 “부처
가 되기 위한 가르침”이라는 뜻입니다. 오늘날 불교가 살아있는 종교로써 정체
되지 않고 끊임없이 새롭게 태어날 수 있는 것도 바로 세 번째 의미에서 비롯됩
니다. 왜냐하면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의미는 타종교에서도 갖추고 있는 것이지
만, 세 번째의 의미만은 오직 불교에서만 주장하고 또한 실천할 수 있기 때문
입니다. 바로 여기에 불교의 보편성과 평등성이 함께 내재되어 있다고 하겠습니
다.
그렇기 때문에 유일신을 믿고 있는 종교는 오직 “믿음”을 중시하고 “구원”을
얻고자 하는 입장인 반면에, 불교는 그와는 달리 “깨달음”을 찾고 “자각”을 추
구하는 종교라는 차원에서 그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근본적인 차이를 제쳐두
고 단순히 지말적인 면만을 비교해서는 참다운 이해는 얻을 수 없습니다.
요컨대 불교란 바로 부처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그 자신의 불성佛
性에 눈뜨게 하는 가르침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오늘을 살고있는 우리들은 인간의 몸을 받았다고 하는 자부심보다
도, 불자로써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올바른 길인가 하는 문제의식이 더욱 절실
하다고 하겠습니다.
'큰스님 법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늘 떠나는 삶 살아야 참된 수행자”/고암큰스님 (0) | 2006.02.08 |
---|---|
마음의 밭에 복전의 씨앗을 심자 (0) | 2006.01.03 |
인과를 믿고 두려워하라 (0) | 2005.12.20 |
권기종 교수, "불교의 핵심은 반야의 완성 (0) | 2005.12.11 |
오직 깨어있는 행위만 있다 (0) | 2005.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