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야의 종을 33번 치는 이유
1. 역사적 의미
새해 첫날이 밝는 자정, 서울 종로 보신각에서 제야의 종을 33번 치는 것은 조선시대에 이른 새벽 사대문 개방과 통행금지 해제를 알리는 타종, 즉 파루를 33번 친데서 연유한 것이다. 시계가 없던 시절, 사람들은 해를 보고 시간의 흐름을 짐작했다. 해시계가 보급된 후엔 조금 나아졌지만 밤중에 시간을 몰라 답답하기는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백성들에게 밤 시간을 알려주는 것이 정부가 맡은 큰 일 중 하나였다.
2시간, 한 점은 24분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 소리를 모든 주민이 들을 수는 없었기 때문에 사대문이 닫히고 주민 통행금지가 시작되는 이경(밤 10시경)과 통행금지가 해제되는 오경(새벽 4시경) 만큼은 종로 보신각에 있는 대종을 쳐서 널리 알렸다.
파루에 33번을 친 것은 제석천(불교의 수호신)이 이끄는 하늘의 삼십삼천에게 하루의 국태민안을 기원한 것이었다.
2. 불교적 의미
- 불교에서 유래. 불교의 우주관, 28계 33천 신앙에서 유래. 새벽이 열리는 인시(寅時)에, 4대문을 여는 파루(罷漏)는 33번 타종. 저녁 유시(酉時)에는 28번 타종(동양적 사고로는 하늘의 별자리 28수(宿)를 상징한다고도 함). 33천을 도의천(도의천)이라 하는데 그 곳의 천민(天民)들은 건강하고 무병장수(無病長壽) 하므로 밝아오는 새해와 밝아오는 아침에는 우리 국민들이 33천민들처럼 건강하고 무병장수하기를 기원.
삼보(三寶)와 불가(佛家)에서 말하는 佛․法․僧의 삼보(三寶)와 통한다.
- 섣달 그믐날 밤 자정에 여러 곳의 절에서는 뭇 중생의 백팔번뇌를 없앤다는 뜻으로 종을 108번 울렸다. 오늘날에는 양력 12월 31일 자정에 서울 보신각과 각 지방에서는 33번의 제야의 종을 울린다. 108이란 숫자가 그러하듯이 `33'숫자도 불교에 뿌리를 둔 숫자다. 이 세상에는 백의관음 수월관음 약왕관음 등 자비스러운 33 관세음보살이 있는데 천상 천하 지상 지하 모든 사람으로 응화, 화신을 한다. 이렇게 33관음은 도처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화신한다 하여 33은 '그 모든 곳에 있는 그 모든 사람을 뜻'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전통은 비단 불교뿐만 아니다. 성균관 서생들이 대궐 앞에 가 상소할 때도 33명을 뽑아 보냄으로써 전체 의사임을 표방하였다. 만인산(萬人傘)이라 하여 육조거리에서 지방 수령들의 송덕 시위를 할 때도 33명을 뽑아 올림으로써 그 지방 백성의 총체적 의사임을 과시하였다. 혹정에 저항하여 민란을 일으킬 때도 사발에다 33명의 이름을 적어 통문으로 돌렸다. 단체나 회사를 발기 할 때도 그 발기인 수를 33명으로 하는 것도 관례가 돼있었다. 3.1 운동 때 민족 대표를 굳이 33명으로 한 것도 바로 독립의지가 전국민의 의지임을 표방하는 수단이었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33번의 종을 치는 것은 '온 사방 만 백성'의 시름과 번뇌를 씻고, 새로운 한해를 축원하는 의미이다.
3. 민족적 의미
33천은, 동서남북 사방에 각 8계층의 하늘이 있고, 그 가운데 이 모두를 지휘하는 하늘을 선견성(善見成)이라 하는데, 우리 나라를 세우신 국조(國祖) 단군(檀君)이 바로 이 선견성의 성주인, 환인(桓因) 천제(天帝)의 아들이므로 단군의 개국이념(開國理念)인 홍익인간(弘益人間), 광명이세(光明以世)의 이념이 널리 선양되기를 바라는 염원에서이다. 33번의 타종은, 우리민족, 우리국가는 무력이 아닌, 홍익인간, 광명이세를 근간으로 인, 의, 예, 지로서 백성을 다스리고 교화 할 것임을 33천, 즉 우주 전체에 맹세한다는 의미이며 이러한 통치이념이, 종이 울릴 때마다 상징적으로 표현된다고 하겠다. |
'삶의뜨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상, 마음치유의 길.. (0) | 2014.01.03 |
---|---|
[스크랩] 삶의 잔잔한 행복 (0) | 2014.01.03 |
새해를 맞는 제야의 타종 33번.. (0) | 2013.12.31 |
[스크랩] *수행자가 지켜야 할 두 가지 (0) | 2013.12.23 |
[스크랩] 삶의 오솔길을 걸으며 (0) | 2013.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