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의 유래
동지는 일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어
음(陰)이 극에 이르지만, 이 날을 계기로 낮이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여
양(陽)의 기운이 싹트는 사실상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다.
동지를 신년으로 생각하는 고대의 유풍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전통사회에서는 흔히 동지를 '작은 설'이라 하여
설 다음 가는 경사스러운 날로 생각하였다.
그래서 옛말에 '동지를 지나야 한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살 더 먹는다'는 말이 전하기도 한다.
팥죽을 다 만들면 먼저 사당에 올리고 각 방과 장독,헛간 등
집안의 여러 곳에 담아 놓았다가 식은 다음에 식구들이 모여서 먹는다.
팥죽에는 축귀(逐鬼)하는 기능이 있다고 보았으니,
집안의 여러 곳에 놓는 것은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내기 위한 것이고,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薦新)의 뜻이 있다.
팥은 색이 붉어 양색(陽色)이므로 음귀(陰鬼)를 쫓는데에 효과가 있다고
믿었으며 민속적으로 널리 활용되었다.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사람이 드나드는 대문이나 문근처의 벽에 뿌리는 것
역시 악귀를 쫓는 주술행위의 일종이다
(경상도 지방에서는 팥죽을 쑤어 삼신·성주께 빌고,
모든 병을 막는다고 하여 솔잎으로 팥죽을 사방에 뿌린다.)
동짓날에도 애동지에는 팥죽을 쑤지 않는것으로 되어 있다.
동지는 음력 11월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께 들면 '노동지'라고 하는데, 이는 동지가 드는 시기에 따라
달리 부르는 말이다.
동지팥죽은 이웃에 돌려가며 서로 나누어 먹기도 한다.
동짓날 일기가 온화하면 다음해에 질병이 많아 사람이 죽는다고 하며,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들 징조라고 전한다.
동짓날 팥죽을 쑤게 된 유래는,
중국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 에 의하면,
옛날 중국 진나라의 공공씨(共工氏)라는 사람에게는
늘 말썽을 부려 속을 썩이는 아들이 하나 있었다.
그 아들 때문에 하루도 맘 편한 날이 없었는데,
어느 동짓날 그 아들이 그만 죽고 말았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죽은 아들은 그만 역질 귀신(疫鬼) 이 되고 만 것이다.
역질이란 천연두라는 무서운 전염병으로 그 당시에는 역질이 마을에 돌면
마을 사람들 대부분 꼼짝없이 앓다가 죽어 버리니
공공은 자신의 아들이었다해도 그냥 둘 수가 없었다.
공공은 생전에 아들이 팥을 무서워 했다는 기억을 떠올리고는
팥죽을 쑤어 대문간과 마당 구석구석에 뿌렸다.
효과가 있었던지 그 날 이후로 역질은 사라졌고 이를 본받아
사람들은 역질 귀신을 물리치기 위해 동짓날이 되면 팥죽을 쑤었다고 한다.
옛사람들은 붉은 색은 귀신들이 싫어하는 색이라고 생각했기에
곡식들 중에서도 유난히 붉은 색을 지닌 팥을 그런 용도로 사용했다 한다.
'삶의뜨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세 이상 한국남성, 베트남신부 결혼 금지" (0) | 2012.02.17 |
---|---|
깨달음이 가장 큰 보시 (0) | 2012.01.31 |
[스크랩] 북한 전 지역 관광 (0) | 2011.12.19 |
[스크랩] 아! 육영수 여사님! (0) | 2011.12.15 |
[스크랩] 국민이 좋아할 수밖에 없는 육영수 여사 (0) | 2011.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