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둬야 할 기본 빨리어 용어해설> |
|
|
•깜마(kamma): |
의도적 행위, 업(業), 즉 신(身),구(口),의(意)로 짓는 업(業). |
•꾸살라(kusala): |
선(善)한 건전한, 유익한, 능숙한, 이로운. (참조:아꾸살라) |
•낄레사(kilesa): |
번뇌, 마음의 不善한 기질, 탐.진.치의 나타남.(참조: 로바. 도사. 모하) |
•나마(nama): |
정신, 마음(웨다나. 산냐, 상카라, 윈냐냐의 집합), 명(名),정신적 과정. |
•나마 루빠(nama-rupa): |
정신(마음)과 물질, 명색(明色),정신적/물리적 과정. |
•냐나(nana): |
지혜, 앎(유의어: 빤냐) |
•다나(dana): |
보시, 기부, 관대 |
•담마(dhamma): |
1. 법, 불교의 교리.2. 자연적 법칙, 본성 그대로의 모습.3. 대상, 사물, 현상 |
•도마낫사(domanassa): |
불만족, 어떤 종류의 불만족한 정신의 느낌.정신적인 괴로운 느낌. |
•도사(dosa): |
성냄, 진심(嗔心). 어떤 종류의 혐오감이나 싫어함.(슬픔, 공포, 저항 등을 포함) |
•둑카(dukkha): |
1.고(苦), 고통, 괴로움, 불만족, 아픔.2.변하는 것(항상 하지 않는 것)이 괴로움(출세간의 고통) |
|
3.모든 존재, 모든 조건 지워진 현상의 불만족스러운 성품 |
|
4.존재의 3가지 보편적 특성의 하나 (참조:아닛짜,아낫따) |
|
둑카를 깨닫는 것은 자유를 얻게 하는 통찰 지혜(panna) |
•딧티(ditthi): |
견해 |
•딴하(tanha): |
갈애(유의어: 로바) |
•로바(lobha): |
탐욕, 좋아하거나 탐 하는 것(유의어; 딴하) |
•루빠(rupa): |
물질, 형상, 몸, 색(色), 물질적 현상, 물리적 과정. |
•메따(matta): |
자애. 이기심 없는 사랑. 조건 없는 사랑 |
•모하(moha): |
어리석음, 무지, 치(痴), 진실을 보지 못함. (유의어: 아윗자) |
•밋차 딧티(miccha ditthi): |
잘못된 견해 |
•바와나(bhavana): |
수행, 수행의 향상, 명상, 정신적 발전 |
•바와나마야 빤야(bhavanamaya panna): |
직접적 체험을 통해 얻어진 지혜, 또는 앎, 수혜(修慧). |
•비쿠(bhikkhu): |
비구,스님,사문. 완전히 출가한 성직자, 상가(승가)의 일원. |
•빠띠짜 사뭇빠다 (paticca samuppada): |
연기, 조건 지워진 생성 |
•빠라마타(paramattha): |
구경법, 궁극적 실재. |
•빠라미(parami): |
완성(완벽). 바라밀(波羅密) |
•빤냐(pannatti): |
지혜, 혜(慧), 통찰지(유의어:냐나) |
•빤냐띠(pannatti): |
상대적(개념적) 진리, 개념, 명칭 |
•빨리(pali): |
불교성전(pali canon)이 처음 기록될 때 사용된 언어 |
•삐띠(piti): |
희, 환희, 기쁨, 희열 |
•사띠(sati): |
알아차림, 마음 챙김, 염(念), 마음(주의) 기울임,주시, 기억, 관찰, 관 |
•사마디(samadhi): |
삼매(三昧), 정(定), 조용함, 고요하고 안정된 마음 |
•사마타(samatha): |
집중, 평온, 고요, 지(止) |
•산냐(sanna): |
인식, 상(想), 지각, 표상작용 |
•삼마(samma): |
바른 |
•삼마 딧티(samma ditthi): |
바른 견해, 정견(正見) |
•삿다(saddha): |
신심, 확신, 믿음 |
•상카라(sankhara): |
행(行), 반응, 의도, 정신적 의도의 형성 |
•소마낫사(somanassa): |
기쁨, 기쁜 정신적 느낌 |
•수따(sutta): |
세존의 가르침 경전 |
•수따마야 빤야 (sutamaya panna): |
읽고 들어서 얻은 지혜, 또는 앎. 문혜(聞慧) |
•수카(sukha): |
즐거움, 락(樂), 행복감 |
•실라(sila): |
계(戒), 도덕, 윤리적 행동강령, 고결한 마음가짐. |
•아꾸살라(akusala): |
불선한, 불건전한, 능숙하지 못한, 해로운. |
•아낫따(anatta): |
1. 무아, ‘내’가 없음, 개체 없음, 영원한 존재 없음.자아가 존재하는 독립된 개체가 없음 |
|
2. 어떠한 것도 원인 없이 스스로의 의지로 일어나거나 한 가지 원인으로부터 일어나지 않음. |
|
어떠한 것도 독립적으로 홀로 존재하거나 변화하지 않음. |
|
3. 존재의 3가지 보편적 특성의 하나(참조:둑카, 아니짜) |
|
아낫따를 깨닫는 것은 자유를 얻게 하는 통찰 지혜 |
•아닛짜(anicca): |
1. 무상 ,모든 조건 지워진 현상은 영원하지 않음,존재로 생겨나는 모든 것은 변하고 사라져감 |
|
2. 존재의 3가지 보편적 특성의 하나(참조: 둑카, 아낫따) |
|
아닛짜를 깨닫는 것은 자유를 얻게 하는 통찰 지혜 |
•아비담마(abhidhamma): |
논장, 승법, 마음의 전개과정과 특성들에 관한 불교의 경전으로 인정된 서술로 |
|
남방에서 전승된 불교 교학 체계, 빨리어로 전승 됨. |
•아윗자(avijja): |
무명(유의어:모하) |
•앗따(atta): |
자아(自我), 에고, 개인 |
☞ 에까가타(ekaggat) |
하나의 대상에 집중된상태. |
•요니소 마나시까라 (yoniso manasikara): |
1. 바른 마음, 바른 마음가짐, 바른 마음의 기울임. |
|
2. 지혜로운 숙고. 이치에 맞게 마음을 일으킴 |
•우빽카(upekkha): |
1. 중립적 느낌과 감각(웨다나), 좋지도 싫지도 않은 느낌과 감각 |
|
2. 평온, 평등심, 평정심, 사(捨), 善한 정신적 상태 |
•웨다나(vedana): |
수(受), 느낌, 감각, 感受작용.(참조: 소마낫사, 도마낫사, 우뻭카) |
•위나야(vinaya): |
율(律), 출가자의 행위규칙과 원칙 |
•위리야(viriya): |
정진, 노력, 힘, 지혜롭게 노력함 |
•위빠사나vipassana): |
관(觀), 통찰, 통찰명상 |
•윈냐나(vinnana): |
식(識), 의식, 아는 마음 |
•인드리야(indriya): |
감각기능, 근(根),다섯 가지 정신적 기능(삿다. 위리야. 사띠, 사마디, 빤냐: 5근/5력) |
•쟈나(jhana): |
선(禪), 선정(禪定), 명상적 몰입 |
•쩨따시까(cetasika): |
마음의 요소, 심소(아비담마에서 분류한 52가지 心所, |
|
어떤 것은 업의 측면에서 중립적이고 어떤 것은 善하고 어떤 것은 不善함) |
•찐따마야 빤냐 (cintamaya panna): |
생각하고 사유함으로서 지적 분석을 통 해서 얻어진 지혜와 앎, 사혜(思慧). |
•찟따(citta): |
마음, 심(心) |
•찬다(chanda): |
소원, 선한 의지, 열의, 대망, 원력, 서원 |
•칸다(khandha): |
더미, 무더기, 집합.(오온: 루빠, 웨다나, 산냐, 상카라. 윈냐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