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뜨락

나는 50평생을 헛되이 보내고,,

마음정원(寂光) 2011. 8. 2. 08:09

나는 50평생을 헛되이 보내고

1. 어버이에게 문안부터 하라
2. 마음을 가다듬어라
3. 외우고 깊이 생각하라
4. 몸을 낮추고 배움을 행동으로 옮겨라
5. 사리사욕을 경계하라
6. 행동은 신중히 하라
7. 질문을 하라
8. 적게 먹어라
8. 사치와 화려함을 멀리하라
10. 여자를 멀리하라
11. 하루에 세 번 반성하라
12. 이로움이 아니라 의로움을 따르라

 

조선의 명문가로 알려진 이경여라는 분이

자식과 조카들을 불러 수시로 가르쳤다는

열두가지 지침입니다

그는 ‘시간은 빨리 가고

청춘은 다시 오지 않는다.

지금 힘써 공부하지 않으면

훗날 후회하여도 소용이 없다.

아! 슬프다.

나는 50평생을 헛되이 보내고

무상한 삶을 한탄하고 있으니 무슨 소용이랴.

오직 너희들에게 늙은 아비가 경계하는 것이다’라며

예기와 격몽요결에 나오는 구용구사九容九思를

생활신조로 삼도록 당부했으며

위의 12가지 지침을 아들들과 조카들에게 내렸으니

12가지는 크게 효, 처세, 독서에 관한 것으로

그 내용이 백강공수잠장도명에 새겨져 있답니다

조선 효종임금 당시에 북벌을 주장하며

영의정까지 지낸 분의 자제들을 향한

몸과 마음을 경계하도록 하는 말씀이

지금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도 좋을듯 하여

이렇게 옮겨 적어보는 것입니다

그분은 호가 백강白江으로

소현세자가 볼모로 잡혀 갔을 때

같이 모시고 심양에 가 있다가 돌아 왔으며

나이 오십이 되어서는 병약하신 칠십 노모를

극진히 모셨다고도 전합니다

그의 가르침에 힘입어서 삼대에 걸쳐서

5명의 정승과 9명의 판서및 무수한 당상관들이

배출되게 하는 토양이 되었으니

명문가는 바른 교육에서 나오는 것임을 알것입니다

현명한 어른들로부터 전하는 가훈이 있고

가풍이 바로 서 있는 집에서 자란 사람은

빈부귀천을 막론하고 당당함이 묻어 있으며

마음의 중심이 흔들리지 않는 꼿꼿함이 있어

언제 어디서나 머무는 자리에서

맡은 바 주인공의 역할을 할것이니

임제스님의 수처작주 입처개진이라는 말씀이

그에 합당한 말이 될것입니다

 

 

 

*구사와 구용은 마음가짐과 몸가짐을 구사(九思)와 구용(九容)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구사(九思)-예를 실천하는 아홉가지의 생각---思(생각할 사)

1)시사명(視思明) : 눈으로 볼 때는 밝게, 바르고 옳게 보아야 되겠다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2)청사총(聽思聰) : 들을 때 편견 없이 바르게 듣는다.

3)색사온(色思溫) : 표정은 늘 온화하게 한다.

4)모사공(貌思恭) : 몸가짐이나 옷차림은 항상 단정히 한다.

5)언사충(言思忠) : 말을 할 때는 항상 믿음이 있는 말을 하며,

자신의 말에 책임을 질 수 있도록 한다.

6)사사경(社思敬) : 어른을 섬김에 있어서 공경하는 마음으로 섬긴다.

7)의사문(疑思問) : 의심나는 내용이 있으면 물어서 깨달아야 한다.

8)분사난(忿思難) : 분하고 와나는 일이 있더라도 참고 삭여 나타내지 않는 것이 좋다.

9)견득사의(見得思義) :

항상 재물을 얻게 될 때 의(義)와 이(利)를 구분하여 취사(取捨)를 가린다.

재물은 정당한 것인가를 생각하고. 명예나 지위는 나에게 합당한 것인가,

지위는 내가 감당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서 처신한다.


구용(九容)-예를 실천하는 아홉가지의 얼굴 --容(얼굴 용)

1)족용중 (足容重) : 발걸음으 옮길 때는 진중하게 하며, 어른 앞을 지날 때는 민첩하게 행한다.

2)수용공(手容恭) : 손은 늘 공수한 자세로 공손한 자세를 취한다.

3)목용단(目容端) : 눈은 단정하고 곱게 떠서 정면을 바로 보고 곁눈질을 하지 않는다.

4)구용지(口容止) : 입은 조용히 다물며 해야 할 말만 조용히 하고 신중히 말한다.

5)성용정(聲容靜) : 말소리는 항상 조용하고 나직하게 말한다.

조용하고 차분한 음색으로 듣는 사람을 편안하게 한다.

6)두용직(頭容直) : 머리를 곧게 하면 몸의 자세도 바르게 된다.

머리가 바르게 되면 눈과 시선도 단정해지고 전체의 자세가 바르게 된다.

7)기용숙(氣容肅) : 기운이란 전체의 기상을 말한다.

호흡을 조절하여 고르게 하면 몸가짐도 엄숙한 태도를 견지할 수 있다.

8)입용덕(立容德) : 서있는 모습이 그윽하고 덕성이 있어야 한다.

9)색용장(色容莊) : 안색을 정제하고 태만한 기색을 나타내지 않고,

얼굴의 표정은 씩씩하고 명랑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