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고요

심리치료와 불교 - 좋은 책 소개

마음정원(寂光) 2010. 9. 6. 18:48



책소개

물질적인 풍요로움을 누리고 있지만 그에 어울리는 마음의 풍요로움은 빈곤한 시대가 현대이다. 과학적 합리적 세계관의 상실과 공허를 채우기 위한 반대급부로 ‘마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소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심리치료와 마음의 치유에 대한 기대도 점점 커졌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사회적 상황은 동양의 명상에 대한 높은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서양 문화와 동양의 명상 전통은 그 접점을 찾으면서 새롭게 변화하고 있다. 그 결과 불교명상과 서양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하고, 심리치료에 명상을 구체적으로 적용하며 그 장점과 단점을 탐색하는 많은 전문가들의 연구 결과물이 집필되고 있다.

마음의 시대, 영성의 시대인 오늘날, 잃어버린 마음을 되찾고 망각한 영성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의 하나로서 심리치료는 정신적 질병을 치유하는 차원을 넘어서 자기성장과 자기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심신의 치유로 범위를 넓히게 되었다. 또한 심리치료의 가장 주목받는 분야로 불교에 대한 심리학적 재해석을 통한 접근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불교는 자신의 본성에 대한 자각을 목표로 하는 심리치료적 가르침이다. 심리적인 대상이나 장애를 그 자체로 허용하고 수용하면서, 통제하지 않고 존재하는 그대로 지켜봄으로써 그 본질을 통찰하는 불교 명상의 접근방식이 오늘날 심리치료에서 적극 활용되고 있다.


저자소개

저자 안도 오사무 安藤治
하나조노(花園)대학 사회복지학부 임상심리학과 교수이며 정신과 의사이다. 동경의과대학 정신신경과 강사와 캘리포니아 어바인대학 객원 준교수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 일본 자아초월심리학정신의학회 대표로 있다. 저서로 『Zen 심리요법』, 『성스러운 체험』, 『명상의 정신의학』, 『영성의 심리학』(공저), 『융 심리학과 현대의 위기』(공저) 등이 있고, 『명상과 융 심리학』(공역), 『트랜스퍼스널 심리학·정신의학』(공역) 등 다수의 역서가 있다.

공역자, 인경(印鏡) 스님. 이필원박사

조계산 송광사로 출가하여 송광사 전통강원을 졸업하고 중강을 역임하였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몽산덕이(蒙山德異) 선사상 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명상치료 수퍼바이저이며, 동방대학원대학교 명상치료학 교수, 한국명상치료학회 회장, 명상상담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술로 『몽상덕이와 고려후기 간화선사상 연구』, 『화엄교학과 간화선의 만남』, 『염지관 명상』, 『에니어그램 성격검사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유식의 변계소집성과 인지치료와의 통합적 접근, 불교의 영성과 명상치료, 유가행파의 영상유식관법, 수용전념치료(ACT)의 명상작업 등 40여 편이 있다.

목차

제1장 현대 심리치료의 발전과 불교

1. 서양심리치료의 대중화와 전개
 1) 저항문화의 시대
 2) 건강과 자기성장
2. 서양사회에 침투하는 불교와 명상
 1) 불교와 심리치료의 만남
 2) 불교의 미국 전파
 3) 불교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4) 불교는 종교인가 철학인가
 5) 심리치료의 태도
 6) 심리치료가 추구하는 것

제2장 불교라는 현대심리학

1. 불교의 기초이론 - 사성제,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1) 고제(苦諦), 고통이라는 진리
 2) 집제(集諦), 고통의 원인이라는 진리
 3) 멸제(滅諦), 고통이 소멸한 상태라는 진리
 4) 도제(道諦), 고통을 소멸하는 방법이라는 진리
2. 불교의 귀중한 심리치료 요소
 1) 계율
 2) 의례와 고요함
 3) 명상
 4) 기원과 자애
3. 불교와 선의 기본적인 사고방식
 1) 제행무상(諸行無常)
 2) 제법무아(諸法無我)
 3) 기사구명(己事究明)과 십우도

제3장 서양심리학과 불교

1. 자아를 둘러싼 물음
 1) 생각으로서의 나
 2) 불교의 자아심리학
 3) 발달심리학과 불교
2. 의식의 흐름으로서의 나
3. 자기실현과 자기초월
 1) 서양심리학의 자기
 2) 불교에서 자기
 3) 자기실현과 자기초월
4. 자기의 발달심리학
 1) 유아의 낙원
 2) 신체의 발견
 3) 분리의 불안
 4) 언어와 자아의식의 형성
 5) 가면과 그림자
 6) 자기와 비자기
 7) 경계의 발견
 8) 불교는 희망을 말한다
5. 동일화와 집착
 1) 집착의 심리학적 이해
 2) 동일화로부터의 해방
6. 불교의 병인론(病因論)과 무명
 1) 무명이라는 근본원인
 2) 무명의 인식
7. 현대의 삼독
8. 집단적 수면과 고통

제4장 현대 심리치료로서의 명상

1. 의학에 접목된 명상
 1) 명상의 유형
 2) 이완(relaxation) 반응
 3) 인지치료로서의 명상
 4) 인지행동치료의 사고방식과 명상
2. 명상과 심리역동적 이해
 1) 무의식에 작용하는 방법, 명상
 2) 명상을 적용한 치료의 예
 3) 무의식론과 명상
 4) 무의식에 다가가는 왕도로서의 명상
 5) 의식의 흐름 관찰
 6) 의식의 배경으로서의 명상
 7) 퇴행인가 성장인가
3. 융파의 명상 이해와 능동적 상상
 1) 적극적 상상(active imagination)
 2) 융의 창조적 퇴행
4. 명상으로 이어지는 심리치료의 여러 기법
 1) 자유연상과 명상
 2) 이미지 치료로서의 명상
 3) 포커싱과 체험과정
5. 심리치료에 있어서 세 가지 접근
 1) 심리치료라는 반성작업
 2) 현상학적 반성과 반성적 목격
 3) 탈동일화와 명상
6. 변성의식의 치료적 의미
7. 자기실현과 자기초월의 의미
8. 심리치료가를 위한 명상

제5장 명상치료의 실천

1. 스트레스 감소
 1) 스트레스의 심리
 2) 스트레스 반응과 스트레스 응답
2. 불안ㆍ공포ㆍ패닉에 대한 대처
3. 통증ㆍ고통에 대한 대처
4. 말기의료의 심리적 지지
5. 심리치료의 보조 그리고 통합
 1) 심리치료의 보조
 2) 심리치료의 기초
6. 명상의 함정
 1) 사고와 감정의 범람, 지각의 변용
 2) 현실과의 괴리
 3) 신심(信心)에 내포된 함정
 4) 지름길로서의 명상
7. 명상의 적응과 비적응

제6장 알아차림의 심리학

1. 심리치료의 목표로서의 알아차림
 1) 알아차림의 심리치료
2. 자기의식과 명상
3. 알아차림과 배려
4. 공유공간에 대한 의식
5. 배려를 어떻게 회복할 것인가
6. 일상생활에서 알아차림
7. 깨달은 자들의 가르침

제7장 현대사회의 심리치료

1. 현대성과 영성
2. 영성이란 무엇인가
3. 일본의 영성
4. 영성의 간결한 정의
5. 현대인의 영성 탐구
6. 개인과 종교
7. 명상의 시대에서 현대사회의 심리치료

'마음고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처님을 믿는 마음  (0) 2010.09.09
수행  (0) 2010.09.08
느낌과 마음   (0) 2010.09.06
무소유의 행복론  (0) 2010.08.29
집착   (0) 2010.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