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 퉁` ` `논 쩝` 두 종류에 뜨거운 햇살 . 비바람으로부터 얼굴 . 목 보호
예로부터 베트남인들은 발을 시원하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나막신을 신었다. 아니면 풀로 만든 슬리퍼. 등심초. 야자수로 만든 슬리퍼 등의 각종 식물재료로 만든 슬리퍼를 신었다. 그후 고무 슬리퍼가 보편화 됐다. 프랑스와 미국에 맞서 항쟁하는 동안에 베트남 군인들이 호찌민 슬리퍼라고 불리는 고무 슬리퍼를 신었다는 사실은 이미 유명하다. 축제일이나 가정의 대소가 있는 경우에 여자는 하이(hai)라고 불리는 앞코가 불룩하게 튀어나온 모양의 전통신발을 신었다. 남자는 대신 구두를 신었다. 그리고 일 할때나, 들판에서 나가 농삿일을 하거나 걸을때, 맨발을 선호했다.
비 . 햇살을 피하기 위한 `삿갓`
머리에는 보통 칸(Khan)이라는 수건을 둘렀다. 옛날 여성들은 머리를 길게 길렀고, 긴 천 조각을 사용해 머리를 말아 그것을 머리 위에 감아 올렸다. 이를 번 똑(van toc)이라 불렀다. 이때 귀옆의 머리를 약간 밖으로 나오도록 했는데 닭의 꼬리 모양 같다하여 똑 두오이 가(toc duoi ga)라고 했다. 베트남 전통가요 중에는 `두오이가 머리를 한 여성이 가장 아름답고 말을 매혹적으로 잘하는 여성이 다음으로 아름답다.`는 귀절이 나온다. 번 똑(van toc) 위에 덮을 수 있는 것으로는 추운 계절에 사용하던 네모난 천이 있는데 이를 칸 부옹(khan vouong)이라고 한다.
꺼마귀 주둥이 모양으로 머리에 질끈 메었는데 앞쪽은 뾰족한 부리 모양을 하고 있고 턱 아래로 양 끝을 동여 메었다. 옛날 남자들은 머리를 길렀다. 응웬 후에(Nguyen Hue)가 청나라 군을 몰아내기 위해 작성한 격문에 따르면 이러한 전통을 지켜내기 위해 적을 물리쳐야 한다는 내용이 있다. 부이 또(buito), 부이 꾸 하잉(bui cu hanh)등으로 불리던 머리를 묶던 풍속은 머리 위에 둥글게 말아 올려진 상투모양이 되었다. 일을 하러나갈때 남자들은 칸 더우 지우(khan dau riu)라는 도끼날 모양의 천을 감았고 예의를 작추어야 할 일이 있을때에는 칸셈(khan xep)이라는 천을 둘렀다. 베트남 남부 사람들은 보통 칸잡(khan rap)이라고 불리는 얼룩무늬가 있는 천을 둘렀다. 이러한 수건(khan) 위에다 혹은 이를 대신해 비와 햇살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던 것이 논(non)이라는 삿갓이다. 베트남의 전통문화 역사를 살펴보면, 이 논(non)을 나타내는 다양한 단어들이 있고 오직 이 논을 부르는 호칭법이나 논의 모양새 등을 통해 당시의 사회상이 한 단면을 볼수있다.
논메(non me)는 낡고 태가 없으며 꼭지 부분에 구멍이 나 있다. 가난한 사람들이 이삭줍기를 하러가거나, 소라를 줍거나, 소를 몰고 나갈때 즐겨썼다. 삼발 자전거를 운전하던 사람들은 논 꾸리 바쑤(non cu liba xu. 삼전짜리 싸구려 노동자들이 논이라는 의미)를 썼다. 옛날 프랑스 식민시대 군인들은 접시를 머리 위에 뒤집어 놓은 것과 같이 생긴 대나무 가지를 엮어 만든 논 린(non linh), 또는 논 저우(non dau)를 썼다. 위꼭지 부분에는 동으로 만든 부분이 달려있고, 뒤편에는 천 조각이 목덜미를 덮었다. 나이가 많은 여성의 경우에는 시장에 가서 논 응에(non nghe. 응에 안 지역의 논), 논니 톤(non nhi thon), 논 바 떰(non ba tam)을 구입했다. 옛날의 스님들은 대나무와 잎을 엮어 만들고, 폭이 넓고 안이 깊은 논 뚜 로(non tu lo)를 썼다. 이러한 것들은 서민들이 사용하던 각 종류의 논들로 지식 관료층들이 논도 그 종류가 매우 다양했다. 즉 옛날에 마을 우두머리나 지방의 관직들은 부채꽃 야자나무 잎으로 만든 논 즈어(non dau)를 썼다. 각 현과 부 이상의 관리들은 새 깃털. 거위 깃털 등으로 만든 논을 썻는데 꼭지에 매우 광이 나는 부분이 달려있었다. 끈은 폭이 넓고 부드러운 명주로 만들어졌다.
한편 높은 관직에 오른 사람들의 경우는 꼭지가 금으로 된 논 롱 짱(non long trang: 하얀 깃털의 논)을 썼다. 여류 문인들은 논 즈어 후에(non dau Hue)를 써야만 했는데 그 특징은 가볍고 고상한 느낌이 났다. 논은 그 종류가 많았진만 크게 두 종류로 나눠진다. 두 논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논 퉁 (non thong): 넓적한 그릇 모양의 `논` 폭이 크고 넓으며 위쪽은 하나의 큰 접시처럼 둥글고 평평하며 논으ㅢ 챙은 위로 솟아올라 전체를 둥글게 감싸고 있다. 논의 안쪽 면 테두리에 대나무로 짜여진 꾸아(qua) 또는 쿠아(khua)라고 불리는 도구가 바느질돼 있어, 사람의 머리에 논이 꼭 맞도록 도와준다. 논 퉁은 일반적으로 논 무어이(non muoi). 논 녀(non nho). 논 더우(non dau) 세 종류로 구분된다. 논 더우(non dau)는 가장 작고, 챙의 폭도 가장 얇다. 논 녀(non nho)는 또한 논 응앙(non ngang)이라고 불리며, 논 더우보다는 더 크지만 논무어이 보다는 더 작고 단순하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들판에 일을 하러 나갈 때 이를 썼다. 논 무어이는 보통 논 바 떰(non ba tam)이라고 하는데 그 테두리가 가장 넓고 챙의 폭도 가장 높으며 가장 아름답다.
2. 논 쩝(non chop) 원뿔형 모양으로 논 퉁보다 더 보편적인 종류의 논이다. 옛부터 남성들이 사용하던 논 쩝은 일반적으로 길고 므거우며 끝이 뾰족하다. 평평하고,얕고 반드시 끈은 대나무를 엮거나 길게 짜여진 천으로 만들어져야 튼튼하다. 여성들을 위한 논 쩝은 더 가볍고 얇고 속이 더 깊었다. 논 꿉(non cup. 폭이 좁은 논)이라고 불렀다. 이는 오늘날에도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논이다. 논 쩝은 또한 크기와 잎의 종류, 짜여진 실의 종류, 논의 장식 방법 등에 따라서 여러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논은 고온 다습한 열대 지방 거주민들의 얼굴과 목을 따가운 햇살과 비바람으로부터 보호해주는 기능이 있다. 베트남은 일년 내내 비가 오고 햇별도 강렬하다. 따라서 베트남인들은 항상 논을 쓴다. 들판에 일을 하러 갈때에도 시장에 갈 때에도 축제에 참가할때도 항상 논을 쓴다.
비와 햇볕을 막아주는 실용적인 목적 이외에도 문화전토의 계승과 창조라는 창의적인 용도로도 이를 적극 활용했다. 거울이 달려있어 활동의 현장에서도 자신의 옷매무새를 고칠수 있고 나무 그늘 아래서 휴식을 취할 때에 논은 더위를 식히는 부채가 되기도 한다. 물 바가지의 기능을 지녀 우물가에서는 손쉽게 갈증을 해결함은 물론 얼굴, 손발을 씻어 더위를 떨치는데 제격이다. 바람 부믄 날에 논은 하나의 작은 벽이 되어 담뱃불을 쉽게 붙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심지어 다리가 뻐근하면 잠시 가던 길을 멈추고 논 위에 앉아도 된다. 논 아래로 보일듯 말듯 나타나는 여인네들이 젓은 눈동자, 매력적인 미소, 보조개, 하얀 피부의 목덜미, 머릿결등은 더욱 매력적이다. 논이 바록 비싸지는 않아 베트남 남녀에게 부담없는 선물용으로 또한 서로를 위한 기념품으로 즐겨 애용된다. 논은 이성간의 만남에 있어 기억의 연결고리이자 사랑의 실 역할을 한다. 논은 시와 음악에 또한 많은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소재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시인도 짱 꾸언(Do Trang Quan)의 시에는 `고향은 작은 대나무 다리, 비스듬히 논 라( non la)를 덮어쓰고 계신 어머니가 그립다.`는 귀절이 나온다. 음악가인 레 비엣 호아(Le Viet Hoa)가 쓴 가사에는 `나는 그대에게 논 바이 터를 보냅니다. 고향의 모습이 담긴, 수백 수천 겹의 향수와 애정이 여기에 담겨져있습니다..` 라는 대목이 나온다. 어쨌든 논은 아오자이와 함께 베트남인의 전통문화를 상징적으로 대변하는 전통문화의 상징으로 그 진가를 지닌다.
(글: 짠응옥템 국립호치민데 교수; 한국외대 베트남어과 교수) |
'좋은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리동네 일기예보 실시간으로 보기 (0) | 2011.09.11 |
---|---|
[스크랩]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심신치유교육학과 석/박사 대학원 학생 모집 (0) | 2011.06.04 |
[스크랩] "中 “백두산은 중국문화 중요 발원지”" (0) | 2007.07.26 |
간이 불교 용어사전 (0) | 2007.02.06 |
故 박정희 대통령 관련자료 모음 (0) | 2006.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