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떠남 - 만행

함양 상림 - 낙엽 카펫..'晩秋의 초대'

마음정원(寂光) 2008. 4. 5. 16:26

 
  함양 상림


   

바스락 ~ 낙엽 카펫… ‘晩秋의 초대’




경남 함양 상림숲 ‘가을 숲 여행’
가을이 하루하루 깊어가고 있습니다. 도시의 아스팔트 길에는스산한 낙엽들이 바람에 구르고 있다. 도시의 낙엽이 그려 놓는 가을풍경은 참으로 황량하고 쓸쓸하다. 단풍이 축제의 폭죽과도 같다면, 낙엽은 그 축제 뒤에 밀려드는 쓸쓸함에 가깝습니 다. 때론 잘 드는 칼처럼 가슴을 스윽 베고 지나가기도 합니다.
하지만 숲길에서 만나는 낙엽은 좀 다르답니다.도시의 낙엽과는 달리 건조하지 않고 촉촉합니다. 아릿아릿한 감미로움이 한 스푼쯤 더해진 맛이랄까요. 떨어진 낙엽들이 카펫처럼 길을 덮고 있는 숲에 가을 아침햇살이 퍼지면 다갈색 낙엽이 진홍 단풍보다 훨씬 더 ‘가을답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가을이 한창 무르익은 날, 함양의 상림숲을 찾아갔습니다. 오래 기다려서인지 상림으로 향하는 길에서 마음 이 두근거렸습니다. 새벽에 만난 상림숲은 숨막히게 아름다웠습니다. 섬진강으로 이어지는 상림숲 옆의 맑은 물이 흐르는 위천 에서 슬금슬금 기어올라온 안개까지 합세해 빚어 놓은 가을풍경은 비현실적이기까지 했습니다.

이곳의 가을느낌은 트렌치코트의 깃을 올린 남자가 낙엽 쌓인 오솔길을 거니는 스크린 속의 한 장면을 연상하면 딱 맞습니다. 세상살이가 참 덧없고 쓸쓸해질 때, 혹은 문득 지금까지 살아온 삶에 후회가 밀려올 때 이 숲을 찾아가보시지요. 아니면 사랑하는 사람이나 가족과 손을 꼭 잡고 바스락거리는 낙엽을 밟으며 이 길을 걸어봐도 좋겠습니다. 함양 상림숲을 둘러보고 인근의 안의 마을로 접어들어 남천강의 쪽빛 물을 따라가며 풍류 넘치는 정자에서 가을을 굽어보고 돌아오는 일정은 또 어떠신지요. ‘아름다 운 길’로 손꼽히는 지안재를 넘어 낙엽세상이 된 지리산을 뱀사 골쪽에서 밟아 순환도로를 타고 넘어봐도 좋겠습니다. 감나무. 밭을 가는 농부들을 만나고, 추수가 끝난 논자락의 볏집 태우는 냄새를 맡아가면서 떠나는 가을여행. 그 길에는 이미 도처에 무르익은 가을이 도달해 있답니다.



정자·누각만 100여곳, 계곡엔 굽이치는 가을

상림숲과 ‘팔담팔정’의 고장 함양
상림에서 만나는 더할 것도, 뺄 것도 없는 만추의 풍경 함양의 상림 숲은 되도록 이른 아침에 만나야 한다. 숲을 비집고 사선으로 들어온 가을 햇살이 퍼지기 시작하는 시간이면 상림숲이 끼고있는 위천이 피워올린 물안개의 시간이다. 슬금슬금 나무를 지우고 길을 지웠던 물안개는 이른 아침 비스듬히 숲으로 드는 햇살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가을이 깊어가면서 상림숲의 너도밤나무, 감태나무, 졸참나무 이 파리는 다갈색으로, 사람주나무, 개서어나무는 노란색으로 차분하게 색을 바꿔가며 떨어지고 있다. 휘익 휘익, 쪽쪽…. 숲에 깃 든 산새들의 지저귐이 운치를 더 한다.

숲 가운데 물길이 있어 가을숲은 촉촉하다. 보탤 것도 뺄 것도 없는, ‘만추의 공간’이다. 이런 가을 숲에서는 벤치에 앉아서 빙글돌며 떨어지는 낙엽을 감상해도 좋고, 발 밑에서 서걱이는 낙엽의 감촉을 느끼며 산책을 해도 좋다.

6만5000여평에 달하는 상림숲에는 산책길만 1.6㎞에 달한다. 산책길에는 120여종의 나무 2만그루가 빽빽하다. 지금 이 길에는 어느 곳이나 낙엽이 수북히 덮여있다. 참나무 낙엽 사이에서는 다람쥐들이 쪼르르 달려나와 나무위를 내달린다. 웬만해서는 사람을 겁내는 법이 없다.

도시 곳곳 공원이 조성되고, 숲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상림숲의 분위기는 그런 숲과는 격이 다르다. 그 ‘격’은 오랜 세월이 만들어내는 것. 오래 묵은 숲의 아름드리 수목들이 뿜어내는 향기와 정취는 한두해의 시간으로는 만들어낼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숲길에서 신라시대 최치원의 숨결을 느끼다.
낙엽활엽수로 가득한 상림숲은, 낙엽활엽수림으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지난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함양읍을 끼고 흐르는 위천변에 고구마 모양으로 자리잡고있는 상림은 1100여 년전인 신라 진성여왕 때 조성된 ‘가장 오래된 인공림’이다. 이 인공림은 당대 최고의 문장가로 일컬어지는 최치원이 조성한 것이다.

최치원이 함양 태수로 부임해 위천의 잦은 범람으로 함양주민들의 피해가 잦자 둑을 쌓아 물길을 돌리고 나무를 심었다. 그게 바로 상림이 포함된 ‘대관림’이다. 어느해이던가 대홍수가 나 숲의 중간이 홍수로 쓸려나가면서 대관림은 위치에 따라 상림과 하림으로 나뉘었다.그 후에도 마을이 들어서면서 하림은 사라져버리고 지금은 상림 만이 온전히 남아있다. 하림이 있던 곳에는 몇그루의 나무만 서 있어 흔적만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상림에서 만날 수 있는 것은 숲만은 아니다. 상림숲 이곳 저곳에는 이은리 석불과 함하루 등 유형문화재와 최치원의 후손인 경주 최씨문중이 세운 문창후 최선생 신도비, 척화비 등 문화재자료를 비롯해 사운정, 초선정 등 정자와 만세기념비, 독립투사들의 기념비와 동상이 있다. 지금 은 누렇게 바랬지만 3000여평의 잔디밭도 조성되어 있고, 야외 공연장인 다별당도 마련되어 있다.

최치원은 우리 역사인물로는 드물게 영웅적이고 환상적인 갖가지 설화가 전해오는 인물이다. 술법을 사용해 해운대의 바위에 글을 썼다는 이야기도 있고, 당나라의 천자의 암살계략을 용왕, 노구, 미녀의 도움으로 물리쳤다는 믿기힘든 이야기도 있다.

또 함양 태수를 마친 뒤 벼슬에서 물러나 가야산으로 들어가 신발만 남긴 채 신선이 되었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상림 숲에서는 그러나 도술을 부리는 전설같은 행적보다는 백성을 진심으로 위하던 행정가로서의 최치원을 만날 수 있다.

호젓한 정자에서 가을로 흘러가는 맑은 물을 굽어보다
함양에는 고색창연한 유적들이 즐비하다. 함양 일대에는 남아있는 서원만 10개에 달하고, 경치좋은 곳에 세워진 정자와 누각만도 무려 100여개에 이른다. 산이 높고 물이 맑으니, 선비들이 풍류에 끌려 함양으로 찾아들었기 때문이다.



옛 사람들의 풍류가 깃든 정자에서 굽어보는 가을은 어떨까.

함양에서 가장 멋들어진 정자는 안의면의 화림동 계곡에 모여있다. 이 계곡에는 예로부터 여덟개의 못과 여덟개의 정자가 있다고 해서 ‘팔담팔정’이라고 불렸다. 정자 가운데 대표격인 농월정이 3년전 불타버려 지금 남아있는 정자는 모두 3곳뿐이다.

안의쪽에서 찾아가면 가장 먼저 만나는 곳이 농월정이다. 농월정 입구에는 제법 큰 주차장과 식당들이 늘어서 있는데, 정자가 불 타고 난 뒤에는 인적이 뜸해졌다. 주차장에는 인근 주민들이 널어놓은 고추만 가을햇볕에 잘 말라가고 있었다. 비록 정자는 불 타고 없어 아쉽지만, 계곡에 펼쳐진 경치는 예나 지금이나 장관이다. 특히 넓이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한 너럭바위 사이로 맑은 계곡물이 굽이치는 경관이 압권이다.

화림동 계곡을 끼고 서하면쪽으로 더 올라가면 동호정을 만난다.
단청이 입혀진 정자는 화려하기 그지없다. 정자 안쪽의 대들보 에는 두마리의 용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 정자에 올라서면 깊어 가는 가을계곡이 한눈에 들어온다. 500명이 모여 연회를 베풀기 도 했다는 정자 앞의 바위 차일암과 통나무에 쪼갠 뒤 도끼로 홈 을 파서 만든 정자 계단이 눈길을 끈다.
동호정을 지나면 군자정과 거연정이 잇따라 서있다. 조선시대 성리학자 정여창 선생을 기리기위해 지어졌다는 군자정은 나무결이 그대로 살아있는 소박한 정자다. 정자가 소박해서인지 고즈넉한 분위기가 더하다. 거연정은 화림동 계곡에 남아있는 정자 가운 데 가장 풍류가 많이 남아있는 곳이다. 계곡의 바위섬 한가운데 자리잡은 거연정은 화림교라는 다리를 건너야 갈 수 있다.



정자에서는 계곡물이 초록빛으로 담겨있는 못을 굽어볼 수 있다.

정성선 전씨 후손들이 1872년에 세운 정자라는데 정자를 세우면서 바위에 손을 대지않고, 굴곡에 따라 기둥을 세워놓았다.

가장 아름다운 고갯길을 넘어 지리산을 만나러 가다
지리산 자락의 함양의 옛이름은 ‘천령’이다. 하늘과 맞닿은 고개라는 뜻이다. 함양 사람들은 지리산 장터목으로 가기 위해 괴 나리 봇집을 지고 고갯길을 넘었다. 그 고개가 바로 지안재와 오도재다. 구불구불 산을 오르는 고갯길 지안재는 낮에도 좋지만 밤풍경이 더 좋다. 조형적으로 굽어진 길을 라이트를 밝힌 차들이 힘겹게 오르는 모습은 이색적인 정취를 안겨준다. 지안재는 모 타이어업체의 TV광고에 등장해 명성을 얻었으며, 최근에는 건설 교통부가 선정한 ‘아름다운 길 100선’에 들기도 했다.

지안재를 넘어 마천면 방향으로 더 내려가면 변강쇠와 옹녀가 지리산으로 들어가던 길이라는 오도재가 나온다. 오도재에서는 지리산의 장엄한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전망공원이 따로 만들어 져있어 맑은 날이면 지리산의 하봉, 중봉, 천왕봉, 백소령, 형제 봉, 반야봉 등이 한눈에 잡힌다.


꼭 이쪽 길이 아니더라도, 함양에서 24번 국도를 타고 남원으로 향하다가 남원시 산내면에서 861번 지방도로로 지리산 뱀사골쪽 으로 들어서 산간도로를 타고 지리산의 가을풍경을 만나는 것도 좋다. 이 길을 따라 성삼재나 천은사쪽으로 더 내려가면 되돌아 오는 길이 멀어지므로 달궁삼거리에서 우회전해 정령치를 넘어서 남원쪽으로 돌아오는 편이 더 낫다.

 

서울에서 출발하면 경부나 중부고속도로를 따라 대전을 지난 뒤, 대전-통영간 고속도로로 바꿔타고 함양분기점에서 다시 88고속 도로로 갈아타야 한다.
함양IC에서 빠져나와 군청을 지나 400m정도 가다보면 함양 제 3 교 앞 오른쪽으로 상림으로 향하는 길이 나있다.
입구에 주차가 가능하다. 표지판이 잘 돼있어 쉽게 찾아갈 수 있다. 화림동 계곡을 찾아가려면 24번 국도를 타고 안의면으로 향해야 한다. 안의면에서 26번 국도를 따라가면 화림동계곡을 끼고 서상방면으로 가는데 계곡을 따라 하나씩 나타나는 정자를 만날 수 있다. 지안재와 오도재를 찾아가려면 함양읍내에서 24번 도로를 따라 남원방면으로 가다 구룡리에서 좌회전하면 된다.


함양읍에서 마천면의 벽송사와 서암(서암정사)로 넘어가는 길목에 지리산 능선을 타고넘는 구절양장의 고갯길 지안재와 오도재가 있다. 예부터 하늘과 맞닿은 고개라는 뜻의 ‘천령’의 땅 함양의 옛 사람들이 장터목으로 가기 위해 괴나리봇짐을 지고 넘었던 험한 길이었다. 지안재를 넘어 마천면 방향으로 가면 변강쇠와 옹녀가 지리산으로 들어갈 때 올랐다는 전설의 고갯길인 오도재가 나온다. 오도재 부근에 세워진 지리산전망공원에 오르면 지리산의 하봉, 중봉, 천왕봉, 백소령, 형제봉, 반야봉 등이 한눈에 잡힌다.
마천면에는 신라 말에 창건되었으나 화재를 입어 조선 중종 15년(1520)에 벽송 지엄대사가 중창한 벽송사와 제2의 석굴암으로 불리는 서암이 나즈막한 야산을 끼고 마주보고 자리잡고 있다. 벽송사 들머리에는 사천왕상 대신 잡귀의 출입을 막고 사원의 풍수를 지켜주는 신장상인 한쌍의 목장승 금호장군과 호법대장군이 이채롭다. 왕눈과 주먹코의 4m 높이 목장승은 왼쪽의 금호장군이 머리 부분이 산불에 타서 없어졌다. 서암은 벽송사에 따른 암자로 근대에 지어진 사찰이지만 바위굴에 모셔놓은 석불과 오밀조밀한 기암괴석, 아름다운 정원 등으로 벽송사보다 더 유명세를 타면서 함양군의 관광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만약 여유가 있으면 상림에서 머지 않은 수동 개평마을 정여창 고택과 하동 정씨 생가 등도 들러 세월의 손때가 묻은 고택에서 만추의 풍광을 맛보는 것도 알찬 여행길이다.


상림에는 함화루, 사운정, 초선정, 화수정 등 정자와 최치원 신도비, 만세기념비, 척화비, 역대군수, 현감선정비군 등의 비석, 이은리 석불, 다볕당 등 볼거리도 다양하다.
또한, 상림에는 120여종의 낙엽활엽수가 1.6Km의 둑을 따라 80~20m 폭으로 조성되어 있어 어린이들의 자연학습원으로도 좋은 곳이다.

  지리산 휴양림 강추… 어탕국수 별미
함양군 마천면 삼정리의 지리산 휴양림이 가장 추천할만한 숙소.이곳에서 묵는다면 지리산 자락의 풍광까지 즐길 수 있다.
함양읍내의 상림장(055-963-7980)이나 백암장(055-963-9241) 등 도 깨끗한 편이다. 상림 주변에는 닭백숙과 도토리묵 등을 파는 음식점들이 여럿 있지만, 딱히 여기다 싶은 곳은 없다.

맛집으로는 어탕국수(사진·4000원)를 내놓는 ‘조센집’(055-96 3-9860)이 단연 꼽힌다. 올해로 27년이 된 집인데 주인 임명자(6 2)씨가 밤낮없이 천렵을 즐기는 남편이 잡아들이는 물고기로 어탕국수를 끓여내다가 급기야 식당을 차린 곳이다. 임씨는 “요즘은 남편에다 아들까지 합세해 물고기도 모자라 사냥까지 다닌다 ”고 한숨이다.
어탕국수는 피래미 붕어, 메기 등 민물 잡고기를 푹 고아 뼈를 추려낸뒤 갈아 얼갈이 배추와 국수를 넣어 내놓는 음식. 산초가루를 살짝 넣어 먹으면 걸죽하면서도 시원한 맛이 일품이다. 화림동 계곡의 정자를 찾아가는 길에 들르게 되는 안의면에는‘안의갈비 원조집’(055-962-0666)이 있다. 갈비탕(7000원)의 국물 맛은 깔끔한 편이지만, 그다지 인상적이지는 않다. 갈비탕보다는 갈비찜(3만~4만원)이 더 낫다.
출처 : 한국의 산천(http://www.korea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