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이해

* 법명(法名) 또는 불명 *

마음정원(寂光) 2011. 3. 22. 13:42

부처님 제자되면 받는 새이름…삶도 거듭나야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면 이름을 받듯이 부처님의 제자가 되면 새로운 이름을 받는다.
그 이름을 법명(法名)이라고 한다.
부처님의 법에 귀의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법명을 부여하는것은 부처님의 제자가 되기전과 그후의 삶은 완전히 다르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즉 그 전에는 세속의 명리를 좇고 중생의 시각에서 세상을 바라보았다면,
부처님의 제자가 된 뒤에는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지해 법대로 살아야한다.
한마디로 말해 새로 태어나는 것이다.

태어나면서 받은 이름이 육신(肉身)의 이름이라면 부처님의 제자가 된 후에 받는 이름은 정신적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법명은 출가자 뿐만 아니라 재가자도 받는다.

스님들은 행자생활을 마치고 사미(니)계를 받고 본격적으로 출가의 길에 들어설때
법명을 받고, 재가자는 재가오계나 보살계를 수지할 것을 서약하면서 법명을 받는다.
형식이나 절차는 다르지만 모두 계를 수지하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지키겠다는
서약을 하면서 ‘새로운 이름을 받게 된다는 점에서는 출가자와 재가자의 구별이없다.

스님은 출가 후…재가자는 수계 서약 때 받아

스승이 제자에 법명 내리는 풍습 중국서 유래

부처님 당시에는 별도로 법명을 부여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초기불교의 교단생활상을 보여주는 〈사분율〉에도
출가자에게 법명을 부여했다는 내용은 없다.
오늘날의 속명(俗名)을 확인하는 절차는 있었지만
새로운 이름 즉 법명(法名)을 부여하는 과정은 없다.
실제로 부처님의 제자인 아난다, 목건련 등은 속세에서의 이름 그대로다.

하지만 부처님 당시에도 ‘새로운 이름’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부처님의 10대 제자중 부처님의 법을 이은 마하카샤파의 원래 이름은 피팔라자냐였다.
피팔라 자냐는 보리수나무 아래에서 태어난 사람이라는 뜻이다.
마하카샤파는 그 뒤에 생긴 이름인데 ‘대(大) 카샤파족 ’이라는 뜻이다.

마하가섭이 출가를 결심한후 모든 재산을 노예와 친척들에게 나눠주고
자신이 입고 있던 값비싼 옷마저 벗어주고 수행의 길에 들어서자
사람들이 이를 칭송하여 붙인 이름이다.

부처님을 뜻하는 ‘석가모니’ 역시 비슷한 이유로 다른 사람들이 명명한 것이다.

스승이 제자에게 주는 법명과는 기원이나 방식이 다르지만 출가전과 출가 후를
구분 짓는 이름이라는 점에서는 법명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오늘날과 같은 법명이 수립된 것은 중국 불교의 초석을 다진
동진의 도안(道安,312~385)스님 부터라는 것이 정설이다.
스님은 당시 승려들의 행위를 규정하는 율이 불충분하다는 것을 알고는
승가공동체의 규율을 제정했다.

이후 인도의 율장이 번역되면서 도안이 제정한 규율은 사라졌지만
하나만은 지금껏 한국 중국 일본 불교에 남아 전해온다.

바로 부처님의 일불 제자임을 뜻하는 석씨(釋氏) 성을 사용하는 관습이다.
그전까지 구족계를 받은 승려들은 자신들의 스승의 성을 따서 이름을 지었다.

하지만 도안스님은 모든 강물이 바다에 들어가면 이름을 잃듯이 출가하여
사문이 된 사람은 모두 석자(釋子)가 된다고 한
〈증일아함경〉 ‘팔난품’의 구절을 따 출가자는 같은 성을 사용해야한다고했다.

오늘날처럼 스승이 제자에게 법명을 내리는 것은 이처럼 중국에서부터 시작됐다.

이름에 얽힌 가장 극적인 예가 〈불조도영〉(佛祖道影) 권1에 나오는
5조 홍인(弘忍)대사가 그의 스승 4조 승찬대사와 만나는 장면이다.
홍인대사의 어릴적 이름은 무성(無姓)이었다. 도신선사가 무성에게 성이 무엇이나고 물었다. 무성이는 “불성(佛性)입니다”라고 답했다.

도신대사가 기특하게 여기며 다시 묻기를 “너는 무성이 아니냐”라고 하자
무성은 “불성은 공(空)하기 때문입니다”라고 답했다.
도신은 그 길로 아이의 부모를 만나 출가를 허락받고 홍인이라는 법명을 주었다.
2조 혜가는 승찬의 머리를 깎아주며 말했다.

“너는 나의 보배다. 승찬이라 부르라.” 이처럼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수행자들은 모두 출가 당시 그들의 스승에게서 이름을 부여받은 것이다.

이 전통은 오늘날 한국불교에도 면면히 내려오고 있다.
산문에 들어서면 우선 행자교육을 받는다.
삭발하고 행자복을 입지만 때는 법기(法器)가 될수 있는지를 시험하는 기간이기 때문에
법명은 아직 받지 않는다. 이름은 ‘김 행자’ ‘박 행자 등 속성으로 부른다.

물론 입산과 동시에 법명을 받아 지니는 스님들도 많지만
법명은 대개 행자교육을 마친뒤부터 본격적으로 불린다.
법명은 행자교육원을 수료해 사미(니)계를 받을 때 함께 받는다.
이 때 계첩에 승려번호와 함께 법명이 기록된다.

속명과 태어나면서 부여받은 주민등록 번호 대신
수행자의 이름과 번호가 따라 붙는 것이다.
세속에 있을 때 이름을 부모가 지어주듯 법명은 스승이 짓는다.

한국에서는 대개 돌림자를 쓴다.
즉 ‘법(法)○’도(道)○’,월(月)○’처럼 앞에 자(字)를 같게 쓰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름만 봐도 같은 스승 밑에서 공부하는 도반(道伴)임을 쉽게 알수있다.
이처럼 이름을 비슷하게 짓는 것은 편이성과 한 스승임을 나타내기 위한 목적에서다.

유교의 항렬(行列)에서 따왔다는 주장도 있다.
언제부터 돌림식 이름을 짓기 시작했는지는 확실치 않다.

중국 선종에서도 제자들의 이름이 현재처럼 돌림자식으로 나가는 것을 볼 수있어
중국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속가에서 이름이 그렇듯 같은 제자라고 해서 반드시 같은 돌림을 쓰는 것은 아니다.
도반마다 법명이 제각각인 문중도 있고 같은 제자라도
연배를 나눠 서로 다른 이름을 짓기도 한다.

즉 스승의 초창기 제자들과 나중에 들어온 제자 사이에 서로 다른 돌림자를 쓰는 것이다. 이름을 짓는 방식도 서로 다르다.
사주(四柱)를 놓고 이른바 궁합이 맞는 이름을 짓는 스님이 있는가 하면
돌림자를 정해놓고 적당한 이름을 붙여 주기도 한다.

어떤 스님 중에는 스승이 지어준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이름 때문에 손해를 본다하여 중간에 법명을 바꾸기도 한다.
또 동명이인이 많아 다른 이름으로 바꾸는 스님들도 있다.

법명을 바꾸기 위해서는 총무원에 개명(改名)신청을 해야 한다.
총무원에서 승려증을 발부하기 때문에 호적정정을 하듯 이름을 바꾸는 것이다.
일반 이름은 재판을 거쳐 바꿀 정도로 엄격하지만 현재 스님들은 그렇지 않다.
은사스님의 허가를 받아 총무원에 신청만 하면 절차는 끝난다.

이 때문에 1년에 많게는 4차례나 이름을 바꾸는등 폐해가 많아
총무원에서는 개명사유를 엄격하게 하고 10만원 가량의 신청비를 받는등
가칭 ‘개명신청령’을 준비 중이다.

스님들에게는 또다른 이름인 법호(法號)도 있다.
○○당(堂) ○○ 스님으로 부를 때 앞에 붙는 것이 법호다.
이 법호는 본인이 직접 짓는 경우도 있고
건당(建幢)하면서 스승으로부터 받거나 전법(傳法) 전강(傳講)때 받기도 한다.
종단에서는 법호 역시 등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건당을 하면 전법게(傳法偈)와 함께 법호를 받는데
이 사본을 총무원에 제출하면 법호가 등록된다.
어떤 스님들은 법명 대신에 법호를 사용해 막상 법명을 부르면
본인인지 모르는 경우도 있다.

아주 드물지만 한글로 법명을 사용하거나 속가에서의 이름을 그대로 쓰는 스님들도 있다. 친한 스님들 사이에서는 법명대신 속명을 사용하며 장난을 치기도 한다.

재가자들 역시 법명을 받는다.
스님들과 마찬가지로 계를 받을 때 계사 스님에게 받거나
스승에게서 법명을 받기도 한다.

재가자들에게는 법명과 함께 그 뜻도 함께 일러주어 늘 가슴속에 새기도록 한다.
경행(鏡行)은‘만물을있는 그대로 비추는 맑은거울처럼 장애 없이 수행하라는 뜻이며,
광법(光法)은‘일체의 어둠을 사라지게 하는 불법의 진리를 체득하여
중생들의 번뇌무명을 사라지게 하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름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이름과 성은 예로부터 가문이나 출신을 나타내는 중요한 징표였다.
계급제도를 부정하고 신분의 귀천을 따지지 않았던
부처님에게 그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껍데기에 불과했다.

그래서 부처님은 자신의 이름과 출신을 묻는 바라문에게 이렇게 말했다.
“나는 바라문도 아니고 왕자도 아니오.
나는 바이샤족 사람도 아니고, 다른 아무 것도 아니오.
모든 범부의 성(姓)을 잘 알고 아무 것도 가진 것이 없지만,
생각하면서 세상을 두루 다니오.

나는 중의(重衣)를 걸치고 집이 없으며,수염과 머리를 깎고 마음을 편안히 하고,
세상 사람들에게 누를 끼치지 않고 거닐고 있소.
바라문이여, 당신이 내게 성을 묻는 것은 당치 않소.” 〈숫타니파타〉 ‘대품’

박부영 기자 chisan@ibulgyo.com

- 출처 : 보시바라밀.net -

'불교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처님 三處傳心(삼처전심)  (0) 2011.03.26
수행십과  (0) 2011.03.22
광명진언(해설)  (0) 2011.03.18
사무량심  (0) 2011.03.18
연기법(緣起法 : pa iccasamupp da)의 원리   (0) 2011.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