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고요

증도가(證道歌)..

마음정원(寂光) 2008. 1. 23. 10:51

 

 

       

       

      가질 수도 없고 버릴 수도 없나니

      얻을 수 없는 가운데 이렇게 얻을 뿐이로다


      취부득사부득     불가득중   지마득

      取不得捨不得     不可得中   只   得


      모든 명상이 다 떨어진 진여자성에서는 한 명상도  찾아볼  수  없으므로 취할래야 취할 수 없고 버릴래야 버릴 수 없다는 것입니다.


      명상이 다 떨어졌다는 것 뿐만 아니라 삼라만상 전체가 허 공속에 건립되어 있지만, 허공은 잡을래야 잡을 수 없고  버릴래 야 버릴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결국 이 뜻은 모든  명상 이 본래 공한 것을 나타낸 것이니, 앞 귀절의 '당처를 여의지 않고 항상 담연하다'는 것과 같은 말입니다. 그러나 어떻게 할  수  없는 거기에서 그치고 만다면 일종의 단견에 떨어지게 되므로 중 도정견이 아닙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중도정견이 되느냐?


      '어떻게 할 수 없는 가운데 이렇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니  '찾 은 즉 그대를 아나 볼 수 없다'는 말과 같습니다. 찾아보면 분명 하게 역력히 항상 알 수 있지만 모든 명상이 다 떨어져서 생각할 래야 생각할 수 없고 말로 표현할래야 할 수 없다는 말입니다.


      그렇게 되어야만 불교의 근본인 중도정견이  확립되는 것이지 

      만약 '취할래야 취할 수 없고 버릴래야 버릴 수 없다'는  여기에 만 치우쳐 해석하게 되면 실지로 정견이 아니고 변견이 되고  맙 니다. 그래서 '취할래야 취할 수 없고 버릴래야 버릴 수  없어서  어떻게 할 수 없는 가운데 분명히 이렇게 할 수 있다'고  하여야 만 위 귀절의 바른 해석입니다.

       

       

        명상곡 -  홀로피는 연꽃

           

            '마음고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행자  (0) 2008.02.10
            비워내는 마음, 낮추는 마음  (0) 2008.01.26
            인과(因果)  (0) 2008.01.22
            있는 그대로가 좋다  (0) 2008.01.20
            보고 듣고 느끼되 집착하지 말라  (0) 2008.01.20